10일 금융감독원 등에 따르면 일본에 진출한 신한·우리·하나·기업·외환 등 5개 은행의 총자산은 지난해 말 현재 84억2,800만달러로, 1년 전보다 2억4,000만달러 증가했다.
일본 점포들은 덩치가 커진 것과 반대로 수익성은 부쩍 나빠졌다. 5개 은행의 당기순이익은 2011년 4,953만달러에서 지난해 3,977만달러로 976만달러(19.7%) 급감했다.
지난 8일 전 지점장 김모(56)씨가 자살한 우리은행 도쿄지점의 경우 2011년 1,216만달러이던 순익이 지난해는 738만달러로 40%가량 줄었다. 하나은행 도쿄지점도 같은 기간 순익이 391만달러에서 197만달러로 절반 넘게 감소했다.
이에 따라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60%에서 0.47%로 곤두박질쳤다. 지난해 상반기 은행들의 전체 해외점포 ROA(0.83%)에 훨씬 못 미치는 수익성을 기록한 것이다.
은행들은 현지법인화에 따른 운영 비용, 일본의 경기 침체, 일본 금융당국의 자산건전성 규제 강화 등이 수익성 악화의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경영 환경이 어려워 실적이 부진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현지 금융권의 리베이트 관행, 인사 관행, 현지 한국인 위주의 영업 방식 등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요인이 실적 부진에 더 크게 작용한 것이라고 일본 근무를 경험한 은행권 인사들은 입을 모았다.
한 시중은행의 전직 도쿄지점장은 “은행 인사에서 일본 출신의 비중이 점차 줄어 과거에는 도쿄지점장을 거치면 임원으로 승진했지만, 이제는 돌아와서 퇴직하는 경우가 많다”며 “이 때문에 예전보다 우수한 인력이 배치되지 않거나, 퇴직 후를 대비하려는 마음에 부정을 저지르기 쉽다”고 말했다.
그는 또 현지 영업 대상인 한국계 고객이 주로 운영자금이 필요한 자영업에 종사하고, 은행들이 이들을 상대로 영업하려다 보니 대출 브로커가 끼어들기 쉬운 환경이 됐다고 덧붙였다.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일본의 저축은행과 대부업계에 리베이트 관행이 사라지지 않은 만큼 우리 은행들도 현지에서 하는 역할이 그 정도 수준”이라며 “일본 은행보다 금리 경쟁력이 뒤처지니 금리를 조금 낮춰주는 대신 리베이트를 받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금감원은 이에 따라 모든 은행권의 도쿄지점은 물론 모든 국외점포를 전면 재점검할 방침이다. 일각에선 해외점포의 비정상적인 동향을 수시로 포착해야 할 금감원의 은행 상시감시 시스템이 허술해졌다는 지적도 나온다.
/디지털미디어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