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 사람들은 왜 주식에 실패할까-존리 메리츠자산운용 대표


한국에 와서 만난 사람 중에서 주식투자로 돈을 많이 벌었다는 사람은 별로 없었다. 신기하게 한국에서는 경영학과 교수, 주식방송 앵커 중에서도 주식투자를 하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심지어 필자가 대표로 있는 메리츠자산운용의 직원들조차 과거에는 주식형 펀드에 개인적으로 투자를 안 했다고 한다. 한국에서는 주식투자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뿌리 깊게 박혀 있는 것 같다.


주식투자에 실패하는 가장 큰 이유는 조바심 때문이다. 많은 투자자들이 주식 매입과 동시에 언제 팔 것인가를 고민한다. 5~10%의 수익이 나면 얼른 팔아버리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고 반대로 10~20%의 손실이 나면 손절매라는 이름으로 매각한다. 하지만 이런 방식으로는 결코 돈을 벌 수 없다. 단기적으로는 주가가 변덕스럽게 움직일 수 있지만 튼튼한 회사라면 장기적으로는 가격이 오르게 돼 있다. 하지만 사람들은 단기적인 시황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최근 신문에서 어떤 펀드가 시장의 하락을 예측해 현금비중을 높여 시장의 하락에 비해 선방했다는 기사를 본 적도 있다. 하지만 이 또한 좋은 방법이 아니다. 시장을 예측하는 것은 한두 번은 맞출 수 있지만 오래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뉴욕에서 1990년대 초부터 코리아펀드를 운용한 15년 동안 필자는 주식을 사기만 했지 판 기억이 별로 없다. 평균적으로 주식을 매입하면 9년 정도를 보유했다. 삼성전자 주식도 2만원 정도에 매입해 15년 동안 한 번도 팔지 않았다. 이런 식으로 10배 혹은 100배 이상 가격이 오른 주식이 수두룩하다.

관련기사



주식투자에 성공하려면 좋은 투자 철학이 필요하다. 우선 주식투자는 그 회사와 동업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그 생각만 뚜렷하다면 단기적 주가 변동에 다른 사람처럼 잠을 못 잘 이유가 없다. 불과 몇 개월 전만 해도 주식 시장이 다시 호황에 접어들었다고 좋아했지만 6개월이 지나지 않아 상황이 바뀌었다. 하지만 우리가 투자한 회사의 본질적 가치는 달라진 것이 없다. 회사는 같은데 주가만 다를 뿐이다. 현명한 투자자는 주가 하락을 좋은 매수 기회로 삼는다. 단기 수익에 얽매이면 이런 시각을 갖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

선진국에서 주식투자를 하는 목적은 대부분 노후를 위해서다. 하지만 한국은 단기적인 목돈 마련이 대부분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평범한 직장인이 주식에 투자하지 않고 노후를 준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젊었을 때부터 좋은 철학을 가지고 주식이나 주식형 펀드에 투자해야 한다. 주식은 사서 모으는 것이다. 특별한 이유가 없으면 매각할 필요가 없다. 노후가 앞으로 10년 혹은 20년 후의 미래라고 생각하면 단기적인 주가 변동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주식을 자주 사고파는 것은 결국 카지노에 가서 돈을 벌겠다는 욕심과 다를 게 없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