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도시총각도 국제결혼 늘어

2005년혼인비율 7.7% 달해<br>외국인 신부 상대 재혼도 증가


미국에서 MBA과정을 거치고 홍콩ㆍ베트남에서 사업을 하고 있는 최정호(38ㆍ대구)씨는 올해 안에 우즈베기스탄을 찾아가 국제결혼을 시도할 예정이다. 아직 총각인 최씨는 지난 수년간 한국에서 결혼대상자를 찾았지만 성격이나 조건을 놓고 까다로운 차이를 느껴 어쩔 수 없이 국제결혼을 선택하기로 했다. 국제결혼이 농촌총각을 넘어 도시총각ㆍ재혼자의 대안으로 자리 잡고 있다. 1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통계청 혼인통계를 분석한 결과 한국인 남성과 외국인 여성 간 결혼은 지난 1995년 1만365건에서 2005년 3만1,180건으로 3배 이상 늘어났다. 전체 혼인에서 국제결혼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5년 현재 9.9%로 11쌍 중 1쌍이 외국 여성배우자와 결혼하고 있다. 경남 함양군과 의령군 등 일부 지역에서는 외국인 여성과의 결혼 비율이 30%를 넘어 3쌍 중 1쌍이 외국인 신부를 맞이하고 있으며 도시지역에서도 외국인 여성과의 혼인비율이 7.7%에 달했다. 시도별로는 전남 15.1%, 전북 12.9%, 경북 11.7%, 충남 11.0%, 경남과 충북 각각 10.8%와 10.3% 순으로 높았다. 시ㆍ군별로는 경남 함양군이 39.0%로 가장 높았고 경남 의령군 35.0%, 전남 진도군 30.7%, 경남 남해군 30.0%, 경북 의성군 28.7% 등이 뒤를 이었다. 도시 남성과 외국인 여성과의 결혼 비율은 7.7%로 아직 상대적으로 낮으나 점차 늘어나는 추세라고 보건사회연구원은 밝혔다. 2005년 국제결혼한 한국인 남편의 직업 중 농업의 비율이 12.4%에 불과하다는 점도 국제결혼이 농촌총각의 전유물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사별이나 이혼 등으로 외국인 여성과 재혼하는 남성도 늘어났다. 2005년 기준 외국인 신부와의 결혼에서 재혼이 차지하는 비율은 40%대로 1990년대 초 30%에 비해 점차 늘고 있다. 이는 농촌에서 짝을 찾지 못한 노총각 못지않게 국내에서 결혼에 실패한 남성들도 외국 배우자를 찾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는 셈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