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2020년엔 이런 집서 산다

전자벽서 에너지 생산<br>홈오피스로 재택 근무


2020년 맞벌이 부부인 김성희씨는 일주일에 하루만 출근을 한다. 홈오피스 기능으로 대부분의 일은 집에서 해결한다. 난방비 걱정도 사라졌다. 태양전지와 OLED를 이용한 초경량 전자벽이 집이 필요한 에너지를 스스로 만들어낸다. 영화에서나 나올 법한 얘기지만 머지않아 우리 주택에 현실화할 모습이다. 삼성경제연구소는 14일 '주택의 미래변화와 대응방안' 보고서에서 이 같은 형태가 2020년형 주거공간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소는 10년 뒤 대표적인 주택변화의 양상으로 ▦스마트 기술 ▦제로 에너지 ▦건강과 안전 ▦구조와 기능의 특화 등 4가지를 꼽았다. 스마트 기술 발전에 따라 주택의 모든 공간에 센서ㆍ디스플레이 등 IT 기기가 결합되고 특히 오는2015년을 전후해서는 5㎝ 두께의 초경량 전자벽이 실용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전자벽은 겉은 박막 태양전지와 OLED를 입혀 에너지를 생산하고 안쪽으로는 조명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안재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에너지 사용을 최대한 줄인 후 필요한 에너지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시스템을 통해 자급하는 제로에너지 주택이 개발되고 실용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구소는 이 같은 주택의 변화에 따라 주택업계와 정부 정책 역시 적절한 대응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소는 "주택업계에서는 핵심기술의 범위를 전통적 건설기술 외에 소재, IT, 환경ㆍ에너지, 서비스 등 융합기술까지 확대해 정의하고 기술력 강화에 주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정부는 그린홈 확산을 위해 범정부 차원에서 체계적인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법ㆍ제도적 성장기반을 대폭 확충해야 한다"고 연구소는 제안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