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차기 재정장관 매파가 돼야

진영욱 정책금융공사 사장 쓴소리<br>한은에도 "금리 빨리빨리 내려야"


진영욱(사진) 정책금융공사 사장이 관료 사회와 한국은행을 향해 모처럼 쓴소리를 쏟아냈다. 발언을 조목조목 들여다 보면 '통렬한 제언'이라 할 정도로 와닿는다.

진 사장은 지난 14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차기 정부에서 기획재정부 장관은 반드시 매파(강성)가 와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경제가 이렇게 어려운데 이도 좋고 저도 좋은 비둘기가 오면 안 된다"며 "당파나 당색을 떠나 통렬하게 고민하고 결정하면서 악역을 맡을 사람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의 발언은 재정부 장관들이 그동안 일선 부처나 정치권에 이끌려 제대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휘둘리고 있다는 세간의 평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진 사장은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의 통화 정책에 대해서도 훈수를 뒀다.

관련기사



진 사장은 우선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더 내려야 한다"며 적극적인 통화정책을 주문했다.

그는 "내년 정책변수 중 가장 큰 것이 환율 문제"라며 "기준금리를 더 내리지 않으면 내년 경기침체가 더 깊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진 사장은 최근 미국 등 주요국이 금리인하 등 양적완화에 나서면서 글로벌 자본이 한국으로 밀려들어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일본이 경기가 바닥인 데도 엔화강세로 고전하는 상황을 예로 들었다.

그는 "단순히 수출경쟁력 차원의 얘기가 아니라 국가경쟁력을 위해, 국가가 살기 위해 그렇게 해야 한다"며 "금리를 좀 빨리빨리 내려야 하고 금리 인하에 대해서도 확실한 방향성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진 시장은 행정고시 16회로 금융정책ㆍ국제금융 등을 담당해온 정통 재무부 관료 출신 최고경영자(CEO)다.

한편 진 사장은 현대중공업과 대한항공이 입찰에 참여한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인수전에 대해선 "(본입찰에서) 제출한 가격과 비가격 공식에 따라 주인을 찾아줄 것"이라는 기존 입장을 확인했다. 산업은행 기업공개(IPO)에 대해서는 반대의 목소리가 높아 쉽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이연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