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오늘의 경제소사/1월16일] 메디치 가(家)

면죄부를 팔아 종교개혁을 초래한 교황 레오 10세, 그리고 레오나르도 다빈치. 둘을 하나로 묶는 공통점이 있다. 메디치 가문이다. 레오 10세는 메디치 출신, 다빈치는 메디치가의 식객이었다. 메디치 가문의 후원을 받은 명단에는 미켈란젤로와 라파엘로, 군주론을 지은 마케아벨리도 포함돼 있다. 종교재판에서 근신을 명 받은 후 여생을 메디치가의 보호 속에서 보낸 갈릴레이는 새로 발견한 목성의 위성에 ‘메디치의 별’이라는 이름을 붙이기도 했다. 피렌체의 후발 은행업자인 메디치 가문이 도약한 계기는 1412년 1월16일 맺은 교황청과 전속은행 계약. 메디치는 프랜차이즈제도를 처음 도입해 유럽 16개 도시에 지점을 깔았다. 돈은 권력으로 이어졌다. 1743년까지 피렌체를 지배한 메디치는 가장 많은 교황(레오 10세ㆍ클라멘트 7세ㆍ레오 11세)을 배출한 집안으로도 유명하다. 동서고금을 통틀어 상업자본으로 출발한 정치권력이 성공한 사례도 메디치가 유일하다. 중세 후반과 근대 이탈리아 역사를 대변하는 메디치 가문사에서 가장 돋보이는 인물은 두 사람. 코시모(1389~1464)와 그의 손자 ‘로렌조(1449~1492)’다. 문화 예술을 후원하고 대학에 막대한 기부금을 낸 ‘위대한 로렌조’는 수필과 극화를 남긴 르네상스의 문장가로도 기억되고 있다. 코시모는 현대 기업경영에도 영향을 미친 인물. 상인과 군인ㆍ예술가ㆍ성직자 등 도저히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사람들을 모아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창조와 혁신으로 연결시킨 그에게서 ‘메디치 효과’라는 용어가 나왔다. 코시모는 고리대금업으로 번 막대한 돈을 교회와 도서관ㆍ병원 건립, 학문 지원에 쏟아부었다. 서양문물의 전통으로 자리잡은 자선 문화의 시발점인 격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