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국내 경제전망] 4일 상반기 재정집행 실적 발표

이번주엔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 방한과 베이징 올림픽 개막이라는 초대형 이벤트로 경제이슈가 다소 관심권 밖으로 밀려날 공산이 크다. 하지만 기획재정부의 상반기 재정집행 실적발표와 국회와 정부의 민생안정 방안 논의, 한국은행의 금융시장 및 유동성지표 동향, 생산자물가 발표 등 민감한 사안들이 줄줄이 예고돼 있어 시장의 반응이 주목된다. 4일 재정부는 상반기 재정집행실적 점검 결과를 발표한다. 지난 5월말 기준 정부의 재정집행실적은 92조3,000억원으로 당초 계획을 약간 상회한 수준이었고, 6월에도 큰 차이는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하반기 경기부양을 위해 재정정책이 요구되는 상황이고, 정부 역시 추가 예산집행에 강력한 의지를 보이고 있어서 상반기 실적과 하반기 계획에 관심이 모아진다. 같은날 국회는 민생안정대책특위 전체회의를 갖고, 다음날인 5일 재정부는 민관합동 물가 및 민생 안정 차관회의 개최 결과를 발표한다. 고물가 안정대책과 경기침체로 고통이 큰 자영업자 등 서민 지원책이 주를 이룰 것으로 보인다. 한은이 7일 8월 금융통화위원회를 앞두고 6일 내놓는 7월중 금융시장 동향 및 6월중 통화 및 유동성지표 동향도 이목이 쏠린다. 금리인상 여부를 놓고 찬반 논란이 예상되는 가운데 올들어 들불처럼 번지고 있는 유동성과잉 현상이 당국의 견제 아래 한 풀 꺾였는 지 주목된다. 8일 발표되는 7월 생산자물가 동향도 초미의 관심사다. 이미 6월 생산자물가는 10.5%로 지난 98년 11월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로 급등한데다 유가급등에 따른 원가비용 전이가 시차를 두고 진행중이어서 생산자물가 오름폭은 더욱 가팔라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한편 부시 미국 대통령이 오는 5~6일 방한, 이명박 대통령과 예정된 정상회담에도 국내외 눈과 귀가 집중될 예정이다. 한미동맹 강화방안을 비롯해 북핵공조, 독도영유권 표기 문제 등 다양한 사안이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