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 中·日에 亞역사연구팀 구성 제안서

"한국 왕따" 뒤늦게 밝혀져

미국이 중ㆍ일 정부에 한국을 제외한 미ㆍ중ㆍ일 3개국 아시아 역사 연구팀을 구성하자는 제안을 공식적으로 요청한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미국은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참배 ▦독도를 포함한 영토분쟁 ▦역사교과서 왜곡 등으로 한ㆍ중ㆍ일 3국간 마찰과 갈등이 증폭되고 있는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미ㆍ중ㆍ일 역사학자들로 구성된 연구팀을 구성, 제2차 세계대전 역사를 재해석하자는 제안을 중국과 일본 정부에 전달했다. 이 같은 사실은 23일(현지시간) 미 연방의회조사국(CRS)이 ‘일본과 미국의 관계’라는 주제로 작성한 보고서에서 밝혀졌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05년 11월 조지 W 부시 대통령이 한ㆍ중ㆍ일 3개국 정상들과 개별적으로 가진 정상회담에서 고조되는 지역 긴장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고 지적, 로버트 졸릭 국무부 부장관이 2006년 1월 중국과 일본을 방문했을 당시 미ㆍ중ㆍ일 3개국 역사학자들이 2차 대전을 재해석하는 ‘트랙 투(Track Two)’를 하자고 제안했다고 밝혔다. 트랙 투는 영토분쟁, 교과서 왜곡 등 국가들간의 특정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해당 정부가 민간이나 준정부 차원의 전문가들로 연구팀을 구성해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말한다. CRS는 보고서에서 이들 지역의 역사적 불행은 2차대전과 그 직전 일본과 주변국들과의 관계악화에서 찾을 수 있으며 현재 한ㆍ중ㆍ일 관계에서 가장 큰 갈등은 일본 정치인들의 야스쿠니 신사참배에서 비롯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한국도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 야스쿠니 참배, 군대위안부 문제 등에 대해 일본이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에 대해 비난하고 있으며 한국과 중국은 일본에 대해 침묵을 지키고 있는 부시 행정부를 곱지 않은 시선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