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현장 목소리 담은 정책 나와야

주택업계 대표와 국토해양부 장관의 조찬 간담회 연기를 놓고 건설업계가 술렁이고 있다. 당초 20일로 예정된 간담회가 21일로 연기된 데 이어 20일 오전 갑자기 무기한 연기하는 것으로 변경됐기 때문이다. 무기한 연기에 대해 기자들의 문의전화가 잇따르자 ‘오는 26일로 변경 추진 중’이라는 답변으로 또다시 변경했다. 국토해양부 측은 21일 청와대에서 갑자기 장관 회의 일정이 잡히면서 변경이 불가피했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24일 청와대 업무보고 일정이 잡혀 있어 일정 잡기가 쉽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일정을 변경할 때는 변경 일정을 잡은 후 연기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사람과 사람 간의 약속에서도 뒤로 미룰 때는 변경 날짜를 정하고 연기한다. 이와 관련한 국토해양부 측의 대답은 더욱 기가차다. “청와대에 갑자기 일정이 잡혀 있어 날짜 변경을 한 것입니다. 그리고 24일에는 국토해양부 장관의 청와대 업무보고가 있습니다. 중요한 일이 있으니깐 중요한 것 먼저 하고 나중에 주택업계 대표 간담회를 하자는 것인데 언론이 너무 예민한 것 아닌가요.” 주택업계의 반응은 싸늘하다. 주택업계의 한 관계자는 “청와대 업무보고도 중요하고 청와대 긴급 회의도 이해가지만 어떻게 주택업계 대표와 만나서 주택시장이 어떤 상황인지 직접 들어보지도 않고 무엇을 보고하겠냐”고 반문했다. 좀더 냉소적인 반응도 잇따르고 있다. 전국에 걸친 대규모 미분양으로 정부의 지원책이 절실한 주택업계 대표들은 주택 업체들을 환자로 비유한다. 한 주택업계 관계자는 “신임 주치의가 오면 제일 먼저 해야 하는 것이 환자 상태를 보는 것일 텐데 병원장 회의를 핑계로 회진도 안 하면 환자는 죽으라는 말이냐”며 “회진 한번 안 해보고 병원장에게 무엇을 보고할 수 있는지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이명박 정부가 해결해야 할 부동산 문제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 당초 후보 시절 내놓은 공약에 대한 구체적인 윤곽도 나오지 않아 시장은 혼란한 상태다. 시장 일각에서는 전세난으로 촉발된 집값 불안정이 강북 아파트 가격상승으로 이어지는 등 상황은 더욱 꼬여가는 모습이다. 당초 현장주의를 내세운 이명박호가 현장의 목소리를 담은 정책으로 실타래처럼 꼬여있는 부동산 시장을 풀어가기를 기대해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