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4월 26일] 구제역 방역체계 대폭 강화해야

강화에서 시작된 구제역이 충주까지 급속도로 번져나가면서 소ㆍ돼지 등 축산농가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강화ㆍ김포에 이어 내륙 충주까지 돼지 구제역이 번진 것은 당국의 방역망이 허술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방역 당국은 구제역 경고단계를 사실상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높였다. 그러나 충주가 교통 중심지인데다 바이러스 전파력이 소의 3,000배에 달하는 돼지 구제역의 경우 방역에 실패하면 전국으로 확산될 우려가 크다. 지난 8일 강화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바다 건너 김포를 거쳐 충주까지 번지는 데 13일밖에 걸리지 않았다. 확산속도가 이처럼 빠른데도 방역 당국은 아직 원인은 물론 감염경로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구제역대책본부장을 농림수산식품부 차관에서 장관으로 격상시켰지만 감염경로 등을 모르는 상태에서는 체계적으로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다. 전염우려 지역의 소ㆍ돼지 살(殺)처분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감염경로 등에 대한 역학조사가 동반돼야 효율적인 방역이 이뤄질 수 있다. 현재까지 4만9,000마리의 소ㆍ돼지가 살처분됐다. 현단계에서 확산을 막지 못하면 가축 16만마리를 살처분한 2002년과 같은 최악의 사태가 재연될 우려가 있다. 아직 피해가 크다고 할 수 없지만 2002년 수준으로 번질 경우 축산농가의 피해가 커지고 쇠고기ㆍ돼지고기 가격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행정력을 총동원해 더 이상 번지지 않도록 축산농가를 지도하고 피해농가의 보상은 물론 송아지 등의 입식자금지원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구제역은 정부와 축산농가ㆍ관련업체 그리고 국민이 힘을 모아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번 구제역 발병과 확산과정을 보면 허술하기 짝이 없는 사례들이 수두룩하다. 구제역이 발병한 나라를 다녀온 후 축사로 직행한 농장주가 있는가 하면 살처분한 가축을 묻을 장소와 보상 문제를 협상하다가 방역의 때를 놓친 당국, 강화ㆍ김포ㆍ충주에 동종혈청 등을 공급한 사료번식 업체, 발생지역을 방문하고도 소독을 거부한 시민 등 구제역에 대해 거의 무방비 상태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염병은 적기방역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농장주나 국민의 협조가 절대적이다. 정부와 축산농가 그리고 국민 모두 위기의식을 갖고 방역에 협조해야 구제역이 전국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