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현대차 부분파업 생산차질 300억

민노총 끝내 '쇠고기 총파업'…참여 저조로 파업동력은 크게 약화<br>李대통령 "함께 망하자는 자해행위 …엄정대처"

민주노총이 2일 완성차와 조선ㆍ부품업체 등 금속노조 사업장을 중심으로 ‘쇠고기 총파업’을 벌였다. 그러나 현대ㆍ기아차를 제외한 대부분의 사업장은 노조간부 위주로만 참가하는 등 파업동력이 크게 떨어졌다. 민노총은 이날 총파업에 전체 조합원 63만명 가운데 13만6,000여명이 참가했다고 밝혔다. 이날 하루 2시간 부분파업을 벌인 금속노조는 240여개 사업장에서 12만명이 파업에 참가했다고 주장했지만 실제 파업에 참가한 인원은 훨씬 적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노동부는 이날 민노총 총파업에 약 9만명 정도 동참한 것으로 보고 있다. 완성차 4사 가운데 현대ㆍ기아차만 주ㆍ야간조로 나눠 2시간 동안 조업을 중단했을 뿐 GM대우차와 쌍용차는 물론 두산중공업ㆍSTX조선 등 경남지역 대형 사업장들은 간부파업을 진행했다. 이밖에 화학섬유연맹 소속 조합원 1,000여명, 건설노조 1만5,000여명도 총파업 대열에 동참했다고 민노총은 밝혔다. 파업 참가자들은 이날 지역별로 총파업 승리 결의대회를 가진 뒤 저녁에는 촛불집회에 참가했다. 파업동력은 크게 약화됐지만 경제에 미칠 악영향을 우려하는 시민들의 비판여론은 커지고 있다. 바른사회시민회의 소속 회원들은 이날 오전 서울 영등포 민주노총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민노총이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파업을 하고 있다”며 파업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날 2시간 부분파업을 벌인 뒤 오후7시부터 조합원 5,000여명이 촛불집회에 참가한 현대자동차 노조는 4일까지 사측과의 올 임금협상 실무협의에 총력을 기울인 뒤 결과를 보고 향후 투쟁수위를 결정할 방침이다. 현대차는 노조의 부분파업으로 차량 2,000여대를 생산하지 못해 300억원의 생산손실을 입었다고 밝혔다. 한편 청와대는 민노총 총파업과 관련, 이날 오전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다 함께 망하자는 자해행위나 다름없다”며 “불법파업에 대해서는 엄정 대처하기로 했다”고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검찰도 금속노조의 파업을 불법으로 규정, 노조 간부에 대한 즉각적인 형사처벌 절차를 밟기로 하는 등 강력 대응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