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특정 재벌 관련 오해 의식하면 일 못해"

李대통령 강조… "은행, 전당포식 담보위주 경영 문제"

이명박 대통령은 31일 산업은행 민영화와 관련해 “해외 자원개발이나 통일에 대비한 정책금융도 해야 되지만 이것 때문에 민영화를 늦춰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여의도 금융감독원 사무실에서 열린 금융위원회 업무보고에서 “국제사회에 내놓을 만한 투자은행(IB)을 갖춰야 한다는 기조를 추진하면 좋겠다”며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어 “여러 가지 계획을 특정재벌과 관련지어 오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런 것 때문에 위축돼 자꾸 뒤로 밀리지만 그러한 것을 명확하게 하면서도 할 수 있다”며 “비은행 지주회사를 만드는 것이 하나의 발전이라 생각하고, 특정 대기업과 관련 있다는 오해를 지나치게 의식하면 한계에 묶여 늘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새 정부에서 금융산업을 키우지 못하면 금융허브를 만들 기회가 없다. 철저히 대비하고 액션플랜을 세우라”고 지시했다. 금융위원회 측에도 이 대통령은 “과거 금융업은 무슨 큰 권력단체인 것처럼 해왔다”며 “스스로 변화하고 관치에서 탈피해야 한다. 밖에서 감독받아온 사람 입장에서 감독하고 정책을 세우라”고 당부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산업은행이 여전히 은행장 명칭을 총재로 쓰고 있다. 은행장이 자신을 총재로 부르면 스스로 부끄러움을 느껴야 할 것 같다”며 “과거의 뿌리 깊은 권위의식을 버리고 금융산업이 서비스 산업이라는 것을 철저히 인식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지금까지 금융기업은 ‘전당포’처럼 담보를 위주로 한 경영을 했었다”며 “국내 규모도 중요하지만 해외 인수합병(M&A)을 통한 과감한 진출과 기업가 정신이 있어야 한다”고 금융업 자체의 변화를 촉구했다. 특히 시중은행장들에 대해서는 “국내에서 실적을 올리고 스톡옵션을 받는 데 만족해서 되겠는가”라며 진취적인 자세를 가져줄 것을 요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