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유가, 2차 오일쇼크 수준 넘어 배럴당 130弗까지 치솟을것"

FT "이란 핵문제·弱달러 영향"…WTI 시간외거래서 93弗 돌파


국제유가가 인플레이션을 감안한 실질가격 기준으로 지난 1979년 2차 오일 쇼크 당시 수준을 넘어 배럴당 120~130달러까지 치솟을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1979년 2차 오일쇼크 직후 국제유가는 인플레이션 등을 감안해 산정할 경우 배럴당 100~110달러에 이른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29일 국제유가가 이란 핵 문제 등으로 인한 지정학적 긴장과 미국 달러화 약세 기조의 영향으로 2차 오일쇼크 수준까지 오를 것이라고 보도했다. 현재 국제유가는 서부텍사스산중질유(WTI) 선물 가격 기준으로 시간 외 거래에서 배럴당 93달러를 넘어섰다. 문제는 여러 악재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며 국제유가가 그 어느 때보다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는 점이다. 원유 선물 트레이더들은 “달러 약세로 인한 투기 매수세가 집중적으로 유입되고 있는 가운데 중동의 지정학적 긴장 및 공급부족 현상으로 국제유가는 조만간 실질가격 기준으로 사상 최고치인 100~110달러에 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이체방크는 “서방선진 7개국(G7)의 구매력을 감안하면 유가는 배럴당 120~130달러도 가능하다”고 예상했다. G7의 1인당 경제성장률 대비 구매력은 현재 456배럴로 1980년과 1982년의 320~350배럴을 넘어선다. 구조적인 공급부족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G7 및 중국ㆍ인도 등 아시아 이머징마켓의 원유 수요가 급증해 실질가격 기준으로 국제유가의 사상 최고치 경신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한편 압둘라 빈 하마드 알아티야 카타르 석유장관은 블룸버그통신과 인터뷰에서 “치솟는 유가를 억제하기 위해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할 수 있는 것은 없다”며 “현재 시장은 수요적인 측면이 아니라 심리적인 측면에서 압박을 받고 있으며 공급이 부족한 상황은 결코 아니다”면서 OPEC이 증산을 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