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포항 건설노조 '노동독재의 전횡'

‘불과 4~5명의 건설노조 집행부가 50만 포항시민들의 생사여탈권을 쥐락펴락한다?’ 국내 최대의 철강도시 포항이 극소수의 강성 건설노조원들 탓에 만신창이가 돼가고 있다. 70일간의 장기파업을 주도 중인 포항 건설노조 집행부는 지난 7월 말 포스코 점거사태가 실패로 끝난 이후 사실상 민주노총 중앙본부 측이 장악하고 있다. 포스코 점거사태 마무리로 포항 지역에 평온이 찾아들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오히려 ‘파경’ 직전에 놓이게 된 것도 일부 건설노조 집행부의 맹목적인 강경주도 때문이라는 지적이 높다. 이들 극소수의 강경 집행부는 지난달 11일 노조원들과 사용자 측간의 합의안 중 ‘독점적 노무 공급권 인정’이 빠져 있음을 빌미로 약속을 한순간에 뒤집는 괴력을 발휘했다. 이들의 힘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시위 사망자 고 하중근씨 장례식이 거행된 6일 오후. 이날 밤늦게 노조대표자회의에서 반가운 소식이 날아들었다. 기존 노사합의안에 대한 조합원 찬반투표를 실시하기로 전격 결정했다는 소식이었다. 하지만 다음날 눈을 떠보니 이번 낭보도 한낱 휴지조각에 불과했다. 집행부 내 소수 강경 세력들이 또다시 하룻밤 새에 결정을 뒤집고 ‘강경 투쟁 방침’으로 나섰기 때문이다. 최근 파업 대열에서 이탈, 포스코 작업 현장에 복귀한 한 노조원은 소수 강경 집행부의 뒤집기에 수천명의 조합원들이 끌려다닐 수밖에 없는 사연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포항 건설노조 홈페이지에는 서슬 퍼런 다음과 같은 문구가 떠 있어요. ‘파업에 불참한 조합원은 작업 현장에서 영구히 퇴출시킨다. 울산 등 외지에서 온 조합원도 마찬가지다.’” 노조원이 아니면 고용할 수 없도록 한 포항건설노조의 ‘독점적 노무공급권’이 조합원들의 목숨(?)을 담보로 잡고 있음을 확인시켜주는 대목이다. 일자리를 잃어가는 건설노조원들은 물론 ‘경제 파국’ 지경에 놓인 50만 포항시민들도 이번 건설노조 파업을 ‘노동 독재의 전횡’이라며 성토의 목소리를 높여가고 있다. 맹목적인 강경 파업이 과연 조합원들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소수 집행부를 위한 것인지 되묻고 싶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