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미국 고용지표 예상밖 부진

8월 신규 비농업 취업자수 16만9,000명으로 기대치 밑돌아


8월 미국 고용지표가 시장 예상치에 못 미치면서 출구전략 시기를 놓고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의 고민도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6일(현지시간) 미 노동부는 지난달 신규 비농업 취업자 수가 전달보다 16만9,000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각각 블룸버그와 마켓워치 예상치인 18만명, 18만5,000명을 밑도는 것이다. 이날 발표한 수정치에서는 6∼7월 신규 일자리 수도 당초 발표한 것보다 대폭 하향조정됐다. 6월 신규 취업자는 기존의 18만8,000명에서 17만2,000명으로 7월 수치도 16만2,000명에서 10만4,000명으로 각각 줄었다.

반면 8월 실업률은 7.3%를 기록하며 전달의 7.4%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7.4%를 유지할 것이라는 시장 예상치보다 낮은 수치다. 또 버락 오바마 대통령 취임 직전인 2008년 12월 이후 4년8개월 만에 가장 낮은 기록이다. 하지만 이 같은 실업률 하락은 경기가 본격화하지 않으면서 아예 구직 포기자가 늘어난 때문이다. 경제활동참가율은 기존의 63.4%에서 63.2%로 낮아지면서 1978년 8월 이후 무려 35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이번 고용지표는 오는 17~18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앞두고 연준의 양적완화 축소 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마지막 관문으로 여겨지면서 시장의 관심을 모아왔다. 최근 미 제조업이나 서비스업 지표가 개선 추세를 보이고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도 감소하면서 이번 지표만 호조를 띤다면 연준이 9월 양적완화 축소를 기정사실화할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하지만 이번 고용지표가 예상을 밑돌면서 연준도 이번달부터 자산 매입 규모를 줄이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커지고 있다. 줄리아 코로난도 BNP파리바 북아메리카 담당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연준이 섣불리 양적완화 축소에 들어갔다가는 금융시장에 혼란을 줄 수 있다"며 "연준은 행동을 취하기 전 더 많은 정보를 모으려고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여전히 연준이 9월에 양적완화 규모를 축소할 것이라는 분석도 만만찮다. 비록 8월 신규 일자리는 부진했지만 미 경기 회복세가 여러 지표에서 확인되고 있다는 것이다. 전날 노동부가 발표한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전주보다 9,000건 줄어든 32만3,000건을 기록하며 예측치인 33만건을 밑돌았다. 또 미국 공급관리자협회(ISM)가 발표한 8월 비제조업(서비스업) 지수도 58.6으로 7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다만 시리아 사태, 미 정치권의 예산전쟁 등 불확실성이 여전한 만큼 연준이 9월부터 양적완화 축소에 들어가더라도 그 규모는 소폭에 그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마이클 페롤리 JP모건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9월 자산매입 축소 규모는 100억~180억달러로 소폭에 그치는 등 아주 점진적으로 이뤄질 것"이라며 "자산매입 프로그램 종료도 내년 2ㆍ4분기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