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황우석 "남대문 안가본 사람이 더 떠든다"

미국을 방문중인 황우석 서울대 교수는 21일저녁 정부관계부처 공무원들인 동료 대표단원과 뉴욕지역에 근무하는 제자들, 지인,언론사 뉴욕 특파원등 30여명과 뉴욕의 한 식당에서 식사를 같이 했다. 마침 유엔에서 인간복제 전면금지 여부를 두고 토의를 벌인 후여서 자연스럽게이 문제가 화제가 됐다. 현재로서는 사람의 난자와 체세포를 이용한 배아줄기세포복제 성공경험이 있는 전세계의 단 한사람인 황 교수는 유엔 토의에서 코스타리카등이 주장한 인간복제 전면금지론을 "남대문에 가보지도 않은 사람이 더 떠드는 격"이라고 일축하면서 이들의 논리를 조목조목 반박했다. 우선 전면금지론자들의 `체세포의 핵을 주입한 난자도 생명이다'라는 주장에 대해 황 교수는 "생명의 개념은 관점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난자나 정자만을 생명이라고 할 수는 없지 않느냐"면서 "난자에서 핵을 제거하면 일단 생식가능성이 없어지므로 생명이라고 이야기할 수도 없고 따라서 여기에 체세포의 핵을 주입한 것도 생명으로 간주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황 교수는 "정자는 말할 것도 없고 난자 역시 자연상태에서 대부분이 수정되지않고 도태된다"고 덧붙였다. `체세포의 핵을 주입한 난자를 자궁에 착상시키면 사람이 될수도 있다'는 금지론자들의 주장에 대해서도 황 교수는 "역시 남대문에 가보지 않은 사람이 남대문을자세히 묘사한 대표적 사례"라고 비유했다. 황 교수는 "동물 실험 등을 통해 과학적으로 입증된 바는 이 같은 난자를 자궁에 착상시켜 태아가 되도록 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사실"이라고 밝혔다. `난자를 이용하지 않은 성체줄기세포를 배양해 치료목적에 활용한다면 윤리적논란을 피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황 교수는 "그럴수만 있다면 왜 그런 좋은 방법을 외면하겠는가"고 반문했다. 황 교수는 "난자를 이용한 배아줄기세포가 260개 이상의 기관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는 `만능 줄기세포'라면 성체줄기세포는 불과 몇개 용도로 밖에 활용할 수 없으며 그나마 이상 가능성이 높아 치료목적에 활용하기에는 난자이용 배아줄기세포와는 비교도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황 교수는 그러나 난자를 이용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 배양 방법도 병행연구할필요는 있다고 밝혔다. 그는 "실제로 이 분야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룬 외국 학자들이 우리에게 제휴를 제안한 적도 있다"고 소개했다. 황 교수는 "아무리 보수적으로 잡아도 꾸준히 연구를 진행한다면 앞으로 10년내에는 배아줄기세포 연구 성과가 실용적 목적에 적용되는 날이 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황 교수는 "과학기술 분야에서도 초강대국인 미국과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국가의 최우선 과제로 적극 추진하고 있는 중국 등 경쟁국들이 맹렬히 따라붙고 있어 잠이 오지 않을 지경"이라고 초조한 심경의 일단을 드러냈다. (뉴욕=연합뉴스) 추왕훈 특파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