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정부 "상생협력 확대하자" 대기업선 "현수준이 적정"

특화 프로그램등 추진에 대기업 10곳중 7곳 '시큰둥'


정부는 28일 청와대에서 열린 성과 보고회에서 상생협력이 기업의 경영전략으로 정착되고 있다고 보고했다. 30대 그룹의 상생협력 투자액이 지난 2005년 1조401억원에서 2007년 1조9,468억원으로 증가하고 상생협력 전담조직을 둔 대기업이 4개 그룹에서 15개 그룹으로 늘어나는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 같은 성적을 토대로 내년에는 상생협력을 지속 추진하고 이 같은 기업의 경영전략을 ‘산업ㆍ지역ㆍ사회 발전 전략’으로 확산시켜나간다는 청사진도 제시했다. 그러나 참여정부의 의욕처럼 상생협력이 광범위하게 확산될지는 미지수다. 대ㆍ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현재의 상생협력이 적정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대기업은 71%에 달했다. 대기업 10곳 중 7곳이 추가적인 상생협력이 굳이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것이다. ◇자동차 등 특화 상생프로그램 발굴=성과 보고회에서는 내년도 상생협력 운용 방안도 제시됐다. 세부 내용을 보면 정부는 우선 자동차ㆍ조선ㆍ철강ㆍ유통ㆍ에너지 등 7개 업종별로 상생협력위원회를 구성, 특화된 프로그램을 발굴해나간다는 계획이다. 상생협력을 지역발전과 연계한다는 것도 2007년 계획에 담겼다. 경북(전자), 전북(자동차ㆍ기계), 울산(자동차) 등 3곳을 거점으로 해서 ‘상생형 지역혁신 클러스터 모델’을 개발하기로 했다. 상생협력을 비정규직ㆍ저출산 문제 해결에도 적용, 대기업이 임금인상을 자제하고 그 여유분을 협력 중소기업 근로조건 개선에 지원하는 ‘상생형 임단협’ 확산에도 나서기로 했다. 특히 현재 여성부가 제정을 추진 중인 ‘가족친화사회환경조성법’에 상생협력 우수 기업에 대한 세제지원을 포함시킬 계획이다. 법인세 감면 등 세제지원뿐 아니라 가족친화경영 지원펀드의 설립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대기업 10곳 중 7곳 “현재 수준이 적정”=정부가 대기업을 독려해가며 상생협력을 확대, 발전시켜나간다는 계획이지만 정작 주도해야 할 기업들은 썩 반기는 분위기는 아니다. 대ㆍ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대기업 10곳 중 7곳은 현재의 상생협력 실적이 적정하다고 답했다. 미흡하다고 한 응답은 25.8%에 불과했으며 과다하다는 비율도 3.2%에 이르렀다. 반면 중소기업은 51.9%가 상생협력 실적이 미흡하다고 답변, 적지않은 시각차를 노출했다. 대기업 CEO의 54.8%는 상생협력이 매우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정부 주도의 상생협력에 대해 썩 좋지 않은 시각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중소기업연구원이 조사한 상생협력 지수를 보면 전산업에서 50점 이하(100점 만점)로 나타났다. 자동차가 44.8점으로 가장 높았고 석유화학 43.4점, 조선 41.7점, 철강 41.4점 등을 기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