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경남은행 우선협상자 BS… 광주은행은 JB 선정 확실시

가격·최종 점수 다른 곳 압도

부산 금융사 경남은행 인수 유력에<br>노사 지역 상공인 거센 반발

경남은행과 광주은행 우선협상대상자로 각각 BS금융과 JB금융이 확실시된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27일 "경남은행의 경우 (유력 후보였던) 경은사랑컨소시엄의 인수 자격 논란을 아예 제외하더라도 BS금융과 3,000억원 이상 차이가 난다"며 "가격요소뿐만 아니라 비가격요소에서도 경은사랑컨소시엄은 자금조달계획 등에서 차이가 너무 많이 난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점수 차이가 너무 커서 다른 판단은 하지 않아도 될 정도"라며 "30일에는 우선협상대상자가 나와야 하지 않겠느냐"고 전했다.

관련기사



업계에서는 BS금융이 경남은행 인수에 1조3,000억원 가까이 쓴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은행은 9,900억원대, 경은사랑은 9,000억원대 초반이라고 금융권에서는 보고 있다. 경은사랑컨소시엄에 무한책임사원(GP)으로 참여해 경남은행 인수를 추진하려던 MBK파트너스에 대해 산업자본 논란이 있었지만 이 같은 적격성 부문을 빼더라도 이미 판세가 기울어졌다는 얘기다.

광주은행 인수전도 JB금융으로 정해지는 분위기다. 정부 관계자는 "경남은행처럼 광주은행도 JB와 다른 곳들이 써낸 가격과 최종점수 차이가 너무 커 다른 요소는 고려 안 해도 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광주의 경우 JB금융이 5,000억원 이상을 써내 신한과 BS금융과 차이가 크게 벌어지는 것으로 전해졌다.

문제는 후폭풍이다. 당장 경남은행을 부산에 기반을 둔 금융사가 가져가려는 것에 대해 경남 지역 상공인과 정치인들의 반발이 거세다. 경남 지역 국회의원을 중심으로 지방은행 매각을 위한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을 반대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경남과 광주는 매각시 각각 개별 지주를 세워 우리금융지주에서 분할한 뒤 합병을 거쳐 매각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수천억원의 세금이 발생한다. 조특법 개정 없이는 세금 부담 탓에 지방은행 매각이 어렵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27일 조특법 개정안을 논의하기로 했는데 일부 지역 의원들의 실력 행사 때문에 어려울 것 같다"며 "늦어도 내년 2월에 통과되면 되기 때문에 상황을 눈여겨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정부 입장에서는 우리금융 민영화에서 원리와 원칙을 고수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