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현대·기아차, 모비스 중심 지주사로 가나


“현대위아 지분 10% 블록딜은 지주사 포석” 분석 제기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가 현대위아의 지분 10%를 돌연 처분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대ㆍ기아차는 현대위아의 지분 매각 대금을 차량용반도체 등 정보통신(IT)사업에 쓸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업계에서는 지주사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현대차그룹의 포석이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1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현대차와 기아차는 각각 현대위아의 지분 168만1,643주, 89만1,368주를 전날 블록딜 형식으로 처분했다. 매각가격은 현대위아의 전날 종가인 13만8,500원에서 5% 할인된 13만1,600원으로 총 매각대금은 3,386억원에 달한다. 이로써 현대차와 기아차의 현대위아 지분율은 종전 51.02%에서 41.02%로 줄어들었다. 현대ㆍ기아차는 이번 매각을 통해 조달한 자금을 차량용반도체 등을 제조하는 현대차전자에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현대차그룹이 순환출자를 해소하고 지주사 설립을 위해 시동을 건 게 아니냐는 관측을 제기하고 있다. 양희준 토러스투자증권 연구원은 “현대차와 기아차의 현금성 자산보유액이 13조2,000억원에 달한다”며 “3,000억원 안팎의 현금 확보를 위해 자회사의 지분매각을 선택한 배경에 대해 의구심이 든다”고 의문을 제기했다.

관련기사



현대차그룹은 현재 현대차가 기아차의 지분 38.7%를 갖고 있고 기아차가 현대모비스의 지분 16.9%를, 현대모비스가 현대차의 지분 20.3%를 보유하고 있는 순환출자구조를 갖고 있다. 또 현대차와 기아차가 각각 계열사인 현대카드, 현대하이스코, 현대파워텍, 현대위아 등의 지분을 나눠 갖고 있다. 현대차그룹이 지주회사로 변신하기 위해서는 우선 현대차와 기아차가 공동으로 지분을 가진 계열사의 주식을 한 회사에 몰아줘 주주를 통일해야 한다.

전용기 현대증권 연구원은 “현대차가 지주회사 전환을 하기 위해서는 가장 적은 비용으로 지분 정리를 해야 하는 고민이 있다”며 “만약 현대차가 이번 현대위아의 지분 매각대금으로 현대하이스코 지분을 추가 취득한 뒤 나중에 현대하이스코 지분 40%를 기아차에 주고 대신 현대위아, 현대다이모스, 현대파워텍, 현대오토에버의 지분을 받아오는 딜을 하면 지주회사 설립을 위한 첫 난관을 넘을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다음 단계는 현대차, 기아차, 모비스의 트라이앵글 구조를 정리해 모비스 중심의 지주회사를 만드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현대글로비스의 주가가 충분히 상승할 경우 이번 딜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현재 19만원 수준인 현대글로비스의 주가가 30만원대로 올라서면 기아차가 보유한 모비스 주식과 맞교환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전 연구원은 “현재 기아차의 현대모비스 지분 가치와 현대글로비스의 주식가치 갭이 1조5,000억원 가량돼 맞교환이 어렵지만 글로비스 주가의 상승여력이 있어 가능성은 존재한다”며 “만약 맞교환이 가능해져 정몽구 회장일가가 현대글로비스의 지분을 기아차에 넘기고 기아차가 보유한 모비스의 지분 16.9%를 넘겨 받으면 모비스 중심의 지주회사가 설립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부에서는 부정적인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조수홍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현대차그룹에서 순환출자 구조 해소에 대한 고민은 하고 있지만 워낙 거대한 지분들이 교환돼야 하는 상황이어서 현실적 어려움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며 “현대차가 실질적으로 현대하이스코 지분을 늘리는 등 현실적 신호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확대 해석은 힘들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