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D램 고정거래값 1.5弗 "사상최저"

일부 업체는 원재료값도 못건져

D램 고정거래가격이 사상 최저치로 떨어져 일부 업체의 경우 재료비도 나오지 않는 상황에까지 이르렀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10월 전반기 1Gb DDR2 D램 고정거래가격이 1.5달러로 전달에 비해 7.7% 떨어졌다. 현물가격도 1.19달러로 4.8% 하락했다. 이에 따라 일부 업체들은 원재료 값도 건지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업계는 1.5달러의 고정거래가격이라면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를 제외한 대부분의 업체가 웨이퍼 등 원재료 구입 단계에서부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생산성이 낮은 대만 등의 후발업체는 1Gb D램 한 개당 웨이퍼 등 재료비가 1.5~2달러 수준으로 관측돼 제품을 만들수록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판이다. 박영주 우리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고정거래가격 1.5달러는 일부 대만 업체들의 변동비 수준”이라며 “D램 생산을 위해 웨이퍼를 구매하는 것이 오히려 손실인 상황이 전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D램 가격이 끝없이 추락하면서 일본의 엘피다와 대만의 파워칩에 이어 프로모스도 최근 감산 방침을 발표했다. 이와 관련, 업계에서는 지난해부터 지속된 ‘치킨게임’이 사실상 끝나가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1위인 삼성전자의 입지가 더욱 강화되는 한편 해외업체들은 더 이상 버티기 어려운 상황으로 가고 있다는 것이다. 박 애널리스트는 “향후 D램 가격은 현재 축적된 재고로 인해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재고소진이 진행된 후 가격 하락폭이 축소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