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기업 "사외이사 급구"

이번주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주주총회를 앞두고 대기업들이 사외 이사 구인난에 휩싸였다. 오는 7월부터 사외 이사를 절반 이상 선임하도록 하는 증권거래법 개정안이 시행되지만, 명망을 갖춘 인사들은 각종 소송 등을 우려해 기업체 사외 이사로 들어가는 것을 꺼리는 모습이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주요 기업들이 사외 이사를 제대로 찾지 못하면서 개정되는 법률을 맞추기 위해 사외 이사를 추가로 선임하는 대신에 아예 사내 이사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의 경우 지난해까지 14명으로 구성돼 있던 이사회 수를 올해에는 사내이사 6명, 사외이사 7명 등 13명으로 줄였다. 삼성전자는 당초 정보통신부 장관으로 입각한 진대제 전 사장 후임으로 사장단중 한 명을 사내 이사로 선임할 계획이었으나, 사외 이사 과반수 규정 등을 감안해 공석을 채우지 않았다. 사외 이사중 임기가 만료되는 요란 맘(전 델컴퓨터 아태담당 사장), 이갑현(전 외한은행장) 이사를 재선임할 방침이다. LG전자도 지난 4일 사외이사인 송병락 서울대교수 등 3명이 사임함에 따라 과반수 규정을 맞추기 위해서는 4명을 새로 충원해야 한다. LG전자는 사외 이사를 찾기 힘들다고 보고, 구자홍 전 회장의 퇴임으로 공석이 된 사내 이사 자리를 채우지 않기로 했다. 포스코도 공석중인 사내 이사 한 자리를 지배구조 개선안에 따라 채우지 않았다. 포스코는 지난해말 전년보다 사내이사는 1명 줄이고 사외이사는 1명 늘려 이사회를 각각 6명과 9명으로 조정하기로 했었다. <김영기기자 young@sed.co.kr>

관련기사



김영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