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테크코리아 이끄는 글로벌 R&D] <상> 선진국 기업·대학이 파트너

오이솔루션, 알카텔과 광트랜시버 개발

운화-에딘버러대, 특허 57개 출원

인적·물적 자원 부족한 중소기업

기술표준 선점·시장 확보 일석이조

오이솔루션 연구원들이 광주광역시 본사 연구소에서 알카텔루슨트테크놀로지와 공동 개발한 10기가비트 광가입자망 광트랜시버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오이솔루션


광신호를 송·수신하는 광트랜시버를 수출, 해외 매출이 60~70% 수준에 달하는 오이솔루션은 설립 13년만인 내년 매출 900억원 돌파를 기대하고 있다. 이같은 성장의 배경에는 산업기술국제협력을 통해 개발한 양방향(BIDI) 광트랜시버가 있다.

박용관 오이솔루션 대표는 지난 2009년 10기가비트(G) PON(광가입자망) 핵심부품인 전용 트랜시버 개발에 나섰다. 이 제품은 1초당 10G의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다. 현재 대다수 국가가 채택한 PON에 비해 5~10배 빠르게 데이터를 처리해주는 강점이 있다.


박 대표는 글로벌 통신장비업체인 알카텔루슨트에 공동 연구를 제안했고 양사는 각국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개발에 나섰다. 그리고 지난해 속도 저하나 트래픽 손실 없이 하나의 선으로 장거리 전송이 가능한 양방향 광트랜시버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박 대표는 "알카텔루슨트를 통해 상당 부분 성능 검증이 됐다는 신뢰감 덕분인지 테스트가 끝나기도 전에 2개월간 114억원의 매출을 올렸다"며 "내년부터는 본격적인 매출이 일어날 것"이라며 밝게 웃었다.

오이솔루션과 알카텔루슨트가 4년간 만들어낸 결과물은 국제 개방 혁신 플랫폼을 통해 국내 중소기업이 기술 표준을 선점하고 잠재 시장까지 확보한 대표적인 사례다. 이처럼 글로벌 기업이나 연구기관과의 공동기술개발이 필요한 이유는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기술 트렌드를 따라잡고 시장을 개척하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인적·물적 자원이 부족한 중소기업으로서는 오랜 기간 신기술을 개발해도 순식간에 다른 기술이 나타나거나, 현지 시장에 맞게 상용화하지 못해 그간의 노력이 수포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다.


희귀식물 줄기세포 분리·배양 기술로 세계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바이오기업 운화도 해외 연구기관과 손잡은지 4년만에 원천기술을 사업화할 수 있었다. 국내 대기업과 연구기관들이 "알려지지도 않은 중소기업과 협력하기 어렵다"며 숱하게 거절했지만, 영국의 에딘버러대학은 운화의 기술에 주목했고, 그 결과 57개 해외 특허를 출원할 수 있었다.

관련기사



운화 사례와 같은 산업기술국제협력의 성과는 글로벌 특허와 논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009~2013년 산업기술국제협력사업을 통해 국내 기업들이 출원한 국내외 특허는 총 2,081건에 달한다. 이중 594건이 등록을 마쳤다. 같은 기간 국내 기업과 연구기관들이 발표한 논문도 1,673건을 기록했다. 특히 저명한 학술지 게재를 통해 학술논문인용색인(SCI)에 올라간 논문 1,095건중 91.1%가 해외 논문이다.

이같은 성과 덕에 글로벌 R&D 협력 네트워크에서 한국의 위상도 달라지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지난 3월 대통령 순방 때 독일 정부와 '공동펀딩형 산업기술협력'을 위한 MOU를 맺은 것. 이전까지만 해도 공동 R&D를 수행할 때 필요한 자금을 우리 정부와 기업이 부담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이제는 양국 정부와 기업이 함께 부담하는 과제 비중이 크게 늘고 있다.

정재훈 산업기술진흥원 원장은 "50여년 전만해도 기술 불모지나 다름없던 한국을 독일이 동등한 기술협력 파트너로 인정한 것"이라며 "독일 뿐만 아니라 프랑스·스위스 등 여러 선진국들과 공동펀딩형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고 앞으로도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발맞춰 산업통상자원부는 생산성 개선에 초점을 맞춘 '산업기술국제공동연구 발전방안'을 마련했다. 공동펀딩 예산사업 비중을 지난해 20%에서 2017년 60%로 높이고, 글로벌 공동연구 사업화 성공률도 25%에서 30%, 참여 중소기업수도 550개에서 1,000개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골자다.

정 원장은 "정보통신과 교통의 발달로 시공간을 뛰어넘는 기술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는 지금 국경을 넘어선 개방형 혁신인 국제공동 R&D는 갈수록 활성화될 것"이라며 "여전히 일반 R&D 대비 국제협동연구 과제 비중은 한 자릿수에 머물고 있지만 정부간 협력체계 구축과 제도 내실화를 통해 전방위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