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거북이 소득 토끼 소비

통계청 발표를 보더라도 이같은 우려는 감지된다. 올들어 지난 2·4분기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210만9,200원으로 지난해 대비 0.4% 늘어났다. IMF이후 첫 증가세다. 반면 소비는 가구당 138만9,700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13.4% 급증했다. 부문별로 보면 자가용 구입비가 181.8%로 가장 크게 증가했으며 다음이 교양 오락용품비(47.5%), 외식비(38.2%), 개인교통비(32.6%), 교양 오락서비스비(20.6%), 식료품비(14.0%) 등의 순이다. 당장 지출하지 않아도 되는 외식비나 개인교통비, 교양오락비 등 선택적 소비가 크게 늘어난 것은 한번 생각해 볼 문제다.우려되는 것은 외상·할부구입이 가구당 월 평균 5만3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무려 42.2%나 늘었다는 점이다. 경기회복에 따라 미래소득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 현실 소비를 확대하고 있는 분위기다. 이같은 소비증가에 따라 소비지출을 가처분 소득으로 나눈 평균소비성향은 76.0%로 지난 90년 1·4분기의 78.6%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소득에 비해 소비가 훨씬 빠르게 늘고 있는 셈이다. 특히 고소득층의 소비가 유난히 증가, 소비행태와 맞물려 걱정스러운 대목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 소득별로 20%씩 끊어 다섯단계로 나눠 볼때 맨 상위계층의 소비지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12.9%나 증가했다. 이는 두번째 상위 그룹의 9.0%, 3번째의 11.3%, 4번째의 11.2%, 맨하위의 7.9%에 비해 훨씬 높은 수준이다. 올들어 사치성 고가품의 수입이 급증하고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당연히 무역수지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결국 소비지출은 개인의 건전한 상식에 맡기는 수 밖에 방법이 없다. 우리나라는 아직도 IMF 관리체제에 있다. 고소득층이 과소비·호화 사치성 소비를 자제해야 한다. 근검 절약의 정신은 우리민족 고유의 미덕(美德)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