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伊 신용등급 강등 여부 무디스, 내달 최종 결정

부유세 신설 갈등도 커져

그리스에 이어 이탈리아의 재정위기에 대한 우려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가 다음달 이탈리아의 신용등급 강등여부를 최종 결론짓겠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이탈리아 내에서는 부유세 신설을 놓고 심각한 갈등을 겪고 있다. 무디스는 16일 성명을 통해 "유로존의 경제 및 금융환경, 유동적인 정치 상황을 감안해 이탈리아 국채의 신용등급 평가를 계속할 것"이라며 "내달 안에 이탈리아 신용등급의 재검토를 마무리 지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시장이 무디스의 발언에 주목한 것은 무디스가 그 동안의 관행에서 벗어나 신용등급 검토 시기를 1개월이나 연장했기 때문이다. 무디스는 신용등급 강등을 검토하겠다고 발표한 후 통상 90일안에 등급을 조정해 왔다. 지난 6월 17일 이탈리아 신용등급 강등을 경고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늦어도 이달중에 최종 결정을 내려야 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무디스가 10월 중 이탈리아의 신용등급을 강등한다고 하더라도 파장이일반의 우려만큼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무디스가 3대 신용평가사 중 이탈리아에 가장 높은 등급인 'Aa2'을 매기고 있기 때문이다. 무디스가 이탈리아 국가 신용등급을 대폭 떨어뜨리지 않는 이상 피치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추가로 등급을 강등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것이다. 한편 이탈리아에서는 재정확충을 위해 도입하기로 한 부유세를 둘러싸고 찬반 논란이 들끓으면서 금융시장의 불안을 키우고 있다. FT에 따르면 이탈리아 경제학자들은 부유세가 도입될 경우 되레 소비를 위축시킬 수 있다며 연금 개혁과 탈세 단속 등 구조 개혁을 먼저 단행하고 지출 감소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부유세에 대한 기대도 만만치 않다. 실제로 이탈리아는 재정위기로 신음하고 있는 그리스와 스페인과 비교해 부유층이 많아 부유세를 도입할 경우 상당한 효과를 거둘 것으로 전망된다. 크레디 스위스에 따르면 연소득 10만달러 이상에 달하는 이탈리아인은 전 세계 평균보다 4배나 많고 약 300만 가구가 세계 부호 상위 1%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