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주가 7일만에 반등 불구 “당분간 보수적 대응을”

탄핵 정국 이후 첫 주의 시작인 15일 주식시장이 다행스럽게도 상승세로 마감해 탄핵정국에 따른 `후폭풍`우려가 크게 줄어들었다. 이날 증시는 지난 주말 미 증시의 급반등과 투자자의 심리안정 등으로 삼성전자를 비롯한 지수관련 대형주들이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면서 전주말보다 3.46포인트(0.41%) 오른 852.26포인트로 마감, 6일 연속 하락세에서 벗어났다. 관심의 초점이던 외국인은 순매도 우위를 기록하긴 했지만 그 규모가 400억원대 수준에 그쳐 일단 관망하는 분위기가 강했다. 전문가들은 하지만 이날 강세를 기록한 것과는 달리 탄핵정국을 감안하지 않더라도 증시 환경 자체가 우호적이지 않은 만큼 당분간 큰 폭의 반등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분석이다. 탄핵 정국과는 무관하게 글로벌 경기가 하향 조짐을 보이고 있는데다 국내 증시의 강력한 모멘텀으로 작용해온 중국 효과도 약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여기에 학수고대하고 있는 내수경기의 회복세도 더욱 늦춰질 수 있다는 점이 증시 반등의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이에 따라 당분간 외국인의 움직임을 주목하면서 증시가 상승쪽으로 방향을 잡을 때까지 보수적으로 대응하는 전략이 바람직해보인다고 조언했다. ◇지수 7일만에 반등 속 글로벌 경기 둔화조짐=미국을 비롯한 세계 경기가 점차 하강 추세에 접어들 것이란 분석이 많다. 경제개발협력기구(OECD)의 경기선행지수 증가율은 지난해 12월 7.9%에서 올 1월 7.7%로 낮아져 10개월 만에 증가 폭이 줄어들었다. 미국의 경기선행지수 증가 추세도 지난 1월부터 꺾였으며 일본은 이미 지난해 11월부터 하향곡선을 그리기 시작했다. 이의 영향으로 미국 나스닥지수는 지난 1월말을 고점으로 하락 추세가 완연하고 S&P500과 다우지수도 지난 주말 일시적으로 반등했지만 지난 일주일동안 꾸준히 떨어지면서 박스권에서 이탈한 상태다. 박석현 교보증권 연구원은 “대통령 탄핵 변수가 일시적이나마 국내 증시에 악영향을 미치겠지만 이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그와 상관없는 글로벌 경기의 둔화 움직임”이라고 말했다. UBS증권도 최근 글로벌 경기 둔화세에 주목해 투자자들에게 글로벌 주식 비중을 줄이고 현금 보유량을 확대할 것을 권고했다. UBS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취약한 미국 고용시장이 경제 성장에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포트폴리오내 이머징마켓 비중을 7.2%에서 5.2%로 줄이고 미국과 유럽 비중도 각각 28.3%에서 27.3%, 9.7%에서 9%로 조정할 것”을 권고했다. ◇중국 모멘텀 약화도 추가 반등에 걸림돌 될 듯=원자바오 중국 총리는 최근 “중국 경제가 사스(SARS) 창궐 당시와 버금가는 중대한 시험에 직면해 있다”고 강조했다. 과잉투자, 에너지ㆍ운송력ㆍ원자재의 고갈, 곡물 생산 감소, 이와 동반하는 물가 상승세가 심각하다는 게 그의 진단이다.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그 동안 국내 경제를 이끌어온 게 수출이고 이를 뒷받침한 게 중국 경제였다는 점에서 중국 모멘텀이 약해질 경우 국내 경제는 물론 증시에 큰 부담이 될 것으로 우려했다. 이영원 대우증권 투자전략파트장은 “원자바오 총리의 언급은 총론 수준이며 각론 수준에서 아직까지 큰 변화는 보이지 않는다”면서도 “점차 모멘텀이 약화될 때를 대비해야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내수 전망도 그리 녹록지 않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기대지수는 96.3으로 5개월만에 하락 반전했다. 경기회복 기대가 낮아져 소비심리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돌아서기에는 역부족인 상태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당분간 보수적인 대응 바람직=전문가들은 대부분 정치 변수가 증시에 단기적으로 큰 충격을 줄 수는 있어도 중장기적으로는 이렇다 할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대통령 탄핵이라는 변수를 제거하더라도 국내 증시 여건은 그리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격적인 실적장으로 옮아가는 다음달까지 `숨고르기`장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이 경우 보수적으로 투자 방향을 설정하되 1ㆍ4분기 실적 개선 여부를 지켜보며 낙폭 과대주를 중심으로 저점 매수를 노리는 전략이 유효하다는 분석이다. <한기석기자 hanks@sed.co.kr>

관련기사



한기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