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FTSE 선진국지수' 편입 또 무산

韓·대만 작년 이어 준선진국 시장에 머물러

한국 증시의 FTSE(Financial Times Stock Exchange) 선진국지수 편입이 지난해에 이어 또다시 무산됐다. 12일 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영국 FTSE 지수위원회는 지난 7일(현지시간) 회의를 열어 선진국시장과 준선진국시장, 신흥시장으로 구분된 각 그룹별 국가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현재 상황을 유지키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한국과 대만 증시는 선진국지수 편입에 대비한 공식관찰국 지위를 유지한 채 준선진국시장(Advanced Emerging Markets)에 계속 남게 됐다. 2004년 9월 공식관찰국으로 지정된 한국과 대만은 지난해 9월에도 선진국시장 편입이 무산된 바 있으며 내년 9월 세 번째 도전에 나서게 된다. FTSE측은 한국 증시에 대해 2004년부터 지적해온 6개 평가항목 가운데 대차거래와 통합계좌는 각각 ‘제한적 충족’에서 ‘충족’으로 개선됐으나 분리결제는 ‘충족’에서 ‘제한적 충족’으로 평가가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조재훈 대우증권 투자분석부장은 “FTSE 선진국지수의 편입가입 가능성을 이미 낮게 봤기 때문에 증시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며 “다만 일부 외국인 헤지펀드의 매물은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회의에서는 신흥시장 편입에 대비해 공식관찰국으로 지정된 바 있는 중국 A증시도 FTSE 지수 편입이 좌절됐다. 또 이스라엘(선진지수편입 관찰대상)과 폴란드ㆍ헝가리ㆍ그리스(준선진 시장 편입관찰대상), 파키스탄(퇴출 관찰대상) 등 5개국이 새로 공식관찰국으로 지정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