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애널리스트가 본 이회사] 하나금융그룹

펀드운용 수수료 수익 늘어날 듯


지난해 12월 1일자로 하나은행은 하나금융지주로 다시 태어났다. 신한지주, 우리금융에 이은 세번째 은행계 금융지주사의 출범이다. 하나금융지주의 가장 큰 매력은 대투증권 및 대투운용을 통한 자산관리 서비스 분야의 강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잠재성이다. 금융지주사의 자회사로 하나은행, 대투증권, 대투운용은 고객정보의 공유가 가능하다. 고객 맞춤형 자산운용 상품을 하나은행 및 대투증권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구조다. 하나금융지주가 보유한 펀드운용자산은 동사의 자기자본대비 3.6배로 다른 금융지주 및 은행들이 0.7배 내지 1.7배 수준인 것에 비해 큰 규모다. 펀드운용자산에 기반한 수수료 수익의 성장 잠재성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국내의 펀드시장은 향후 3년간 매년 10% 이상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주식시장에서는 하나금융지주의 외환은행 인수를 자금부담 등의 이유로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기도 한다. 하지만 외환은행 인수가 하나금융에 미칠 부정적 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한다. 민감도 분석을 해보면, 외환은행을 현 주가보다 10% 높은 가격으로 지분 79%를 인수할 경우 동사의 올해와 내년의 주당순자산은 각각 17.9%, 14.2% 희석되는 부정적 효과가 있다. 하지만 주당순이익은 6~7% 증가한다. 또 외환은행 인수 이후 하나금융은 대표은행으로 리레이팅되는 긍정적 부분도 있다. 만일 외환은행을 인수하지 않을 경우, 하나금융은 수익성 좋은 중대형 금융기관으로 인식돼 주가의 모멘텀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인수하건 하지 않건 부정적인 영향은 크지 않다. 결론적으로 하나금융의 투자포인트는 주가순자산(PBR) 기준으로 시중은행보다 20% 가량 저평가된 상태라는 점, 막대한 펀드운용자산을 기반으로 장기적인 수수료수익 성장의 기반을 갖추고 있는 점 등이다. 하나금융에 대해 ‘매수’ 투자의견과 적정주가 5만6,000원을 제시한다. 적정주가 5만6,000원은 동사의 올해 순자산가치에 1.6배를 적용한 것으로, 당사가 국민 또는 우리금융 등에 대해 적용하고 있는 1.9배 내지 2.0배보다 낮은 보수적인 수치다. 이재원·굿모닝신한증권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