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기술인력이 성장동력이다] '인력개발 협의체' 외국은 어떻게

加기업 자발적 결성…기업-교육기관 인력 중개<br> 英정부가 직접 관리…운영비 지원등 정부 주도


국내 산업계가 기술인력 양성 및 수급을 주도적으로 해나가기 위해 조직한 ‘산업별 인적자원개발협의체(Sector Council)’ 관계자들이 최근 캐나다와 영국을 다녀왔다. 선진적인 기술인력 양성ㆍ수급 시스템을 배우기 위해서다. 이들 나라는 이미 80년대부터 민관합동으로 협의체가 구성돼 제도적으로 정착된 단계다. 일반적으로 캐나다는 기업 등 민간주도형인 반면 영국은 정부주도형으로 알려져 왔다. 각국의 경험을 선례로 삼아 우리나라에 보다 적합한 시스템을 발전시키자는 취지다. 국내 산업별 인적자원개발협의체는 지난해 기계ㆍ전자ㆍe비즈 등을 대상으로 시범실시된 후 올 3월 자동차ㆍ조선ㆍ철강ㆍ섬유ㆍ석유화학ㆍ반도체ㆍ디스플레이 등 10개 분야로 확대됐다. 기술인력 수요자인 기업을 중심으로, 정부나 학계ㆍ연구계ㆍ노동계가 함께 참여해 산업별 인력수급, 교육훈련, 산학협력 등을 수행한다는 목표다. 아래는 산업별 인적자원개발협의체 사무국이 정리한 캐나다ㆍ영국 사례조사 개요다. ◇캐나다=캐나다 연방정부에는 우리나라 교육부에 상응하는 부처가 없고 13개 주별로 기능이 나눠져 있다. 지방정부의 교육목표도 민주시민을 양성하는 것을 위주로 해 산업기술인력을 공급한다는 목표는 종종 간과되고 있다. 때문에 일찍부터 섹터카운슬(Sector Council)이라는 중앙집권적인 산업별 조직을 통해 교육기관에 기업의 요구사항을 전달하고 있다. 첫 섹터카운슬은 지난 85년 조직된 철강산업 분야의 CSTEC(Canadian Steel Trade Employment Council). 기업들이 필요에 따라 섹터카운슬을 자발적으로 결성하고 참여욕구도 높은 편이다. 시대에 따라 역할이 변했는데 초기에는 인력구조조정을 목표로 했고 따라서 정부의 관여도 많았다. 하지만 90년 이후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인력의 교육훈련과 적절한 배치에 주안점을 두면서 자발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다만 최근 정부가 인적자원개발이라는 공공목표에 중시하면서 재정지원을 늘이는 추세다. 캐나다의 특징 중 하나는 이민자의 나라답게 해외로부터의 이민근로자의 숙련도 평가와 교육훈련을 통해 자국기업에 적절한 업무를 배정해 주는 역할을 중시한다는 점이다. 주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지만 성공을 위해서는 대기업 참여를 필요로 했다. 책임자 선정방식도 중요한 데 관련 분야 사업을 운영해 본 사람 가운데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신념과 업계의 신망을 받을 경우 기업들의 참여가 컸다. 최희선 산업연구원 초청연구원은 “기업 인력수요를 파악, 교육기관이나 정부에 전달하는 캐나다의 사례를 본받을 만하다”며 “이를 위한 광범한 네트워크나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영국=영국 섹터카운슬의 경우 기업주도의 조합형태로 운영된다는 점에서 비슷하다. 다만 정부기관의 직접관리를 받고 대부분의 운영비도 정부에서 나온다는 점에서 캐나다 사례와 다르다. 섹터카운슬이 처음 설립된 것은 지난 2003년. 정부와 기업들의 공동노력을 통해 급속히 늘어 현재 전국에 25개가 있다. 각 기관은 20~60명의 직원을 갖고 있으며 이중 절반 가까이가 지방에서 활동한다. 섹터카운슬 직원 수가 캐나다에 비해 두배 가까이 많은 데 이는 산업계 기술인력 수급에서 역할이 크기 때문이다. 대개 기업이 개별적으로 인력을 고용하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철저하게 산업별로 공동 대처한다. 일례로 반도체 산업에는 몇 명이 필요하니 이를 어떻게 교육시키고 공급해야 한다는 식이다.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소자설계지원팀장은 “국내 중소ㆍ벤처기업의 공동발전을 위해서는 영국식의 산업별 기술인력 교육ㆍ수급 노력을 참조할 만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