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이전기술 상용화 자금난이 최대장애"

국내업체들이 이전받은 기술을 상용화를 하려할 때 자금문제로 가장 큰 애로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25일 정보통신연구진흥원(원장 전창오) 산하 기술이전센터(www.technomart.re.kr)가 정보통신관련 280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기술수요조사에 따르면 업체가 기술을 이전받아 이를 상용화하는 데 필요한 사항으로는 자금지원 및 알선이 3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애로기술컨설팅 또는 추가개발(26%), 정보제공(14%), 고가장비(10%), 경영컨설팅(8%), 교육지원 및 법률자문(3%) 순으로 나타났다. 상용화자금의 경우 평균 8억5,000만원의 자금을 원했으며 정보제공은 주로 시장동향에 대한 요구가 65%로 기술동향에 대한 요구보다 높게 나왔다. 고가장비는 네트워크(50%) 및 RF 시험장비(27%)에 대한 요구가, 법률자문은 지적재산권 출원관리(49%)에 대한 요구가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대학이나 연구소의 보유기술을 산업체에 이전하기 위해서는 추가 상용화개발을 위한 자금지원(60%), 산업체와의 유기적 협력(46%), 기술이전 홍보ㆍ알선(18%), 기술마케팅(14%)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바람직한 기술이전 형태로는 공동연구(45%), 라이센싱 및 기술양허(23%), 기술자문(21%), 인력교류(7%) 순으로 나와 판매측과의 공동연구를 선호함을 알 수 있다. 이성구 기술이전센터장은 "단순한 중개ㆍ알선만으로는 업체들을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며 "효율적인 자금지원과 체계적인 기술이전 네트워크 구축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최수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