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해외 섹터펀드 "투자 괜찮아요"

주식형펀드와 분산투자 효과

해외 섹터펀드에 투자할 경우 국내 주식형펀드와의 분산투자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투자증권은 2001년 이후 스타일별 해외펀드의 연간 수익률과 코스피지수와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신흥 주식시장에 투자하는 펀드의 상관계수가 0.83(계수가 1에 가까울수록 상관관계가 높음)으로 가장 높았고 글로벌주식펀드도 0.71에 달했다. 또 가치주펀드는 중소형이 0.71, 대형 펀드는 0.70이었고, 성장주펀드도 대형과 중형이 0.70, 소형은 0.69로 비교적 높아 국내 주식형 펀드와의 분산효과는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금속관련 펀드가 0.23으로 가장 낮았고 부동산 0.30, 천연자원 0.43, 건강 0.45, 금융 0.61 등 섹터펀드가 국내 증시와의 상관계수가 낮게 나타났다. 지난해 연초 이후 상관관계도 신흥주식(0.78), 글로벌주식(0.69), 대형가치주(0.74) 등이 높았던데 비해 부동산(0.32), 건강(0.34), 금융, 금속, 천연자원, 부동산(0.56∼0.58) 등 섹터펀드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신제요 한국증권 연구원은 “스타일이 뚜렷하지 않은 국내 일반 주식형 펀드와 분산투자를 할 경우 성장주나 가치주 펀드보다 섹터 펀드의 분산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