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는 27일 "북한이 26일 새벽 서해 군통신선을 통해 국방위원회 서기실 명의로 청와대 국가안보실에 전통문을 보내왔다"며 "북한은 25일 보수단체들의 전단살포 계획은 무산됐으나 우리 당국이 저녁 시간을 이용한 전단살포를 강행하도록 방임했다고 주장했다"고 밝혔다. 북한은 또 전통문에서 "남북관계 개선 분위기를 살리자는 북측 요구를 (남측이) 달갑게 여기지 않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라며 "고위급접촉이 이런 분위기 속에서 이뤄질 수 있겠는가를 생각해봐야 할 것"이라며 압박했다. 노동신문도 이날 대북전단 살포 등에 대해 "북남 사이의 대립이 극도에 달했다"고 평하며 "남측이 도발적 언행을 계속한다면 북남관계의 대통로는 고사하고 열린 오솔길마저 끊기게 될 판"이라고 가세했다.
정부는 이에 대해 이날 오전 국가안보실 명의의 대북 전통문에서 "우리 민간단체들의 전단살포와 관련해 법적 근거 없이 민간단체의 활동을 통제할 수 없다는 기존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거듭 밝혔다. 그러면서 안보실은 "이미 남북이 개최에 합의하고 우리 측이 일시와 장소를 제의한 제2차 고위급접촉에 대한 입장부터 분명히 밝힐 것"을 북측에 요구했다. 남북이 이처럼 대화에 앞선 기싸움의 차원을 넘어 대립각을 분명히 하자 2차 고위급 협의가 우리 측이 제시한 30일은 물론 또 다른 기한인 다음달 초순까지도 열리지 못하는 것 아니냐는 부정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한편 남북 간 협의에 대한 오락가락 정보로 북측에 일격을 맞으며 신뢰의 위기를 맞은 정부가 대북전단 논란 속에 남남갈등이 커지는데도 독선적 태도를 견지해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북측의 26일 새벽 전통문에 기존 입장만을 담은 답변을 보내면서 24시간 넘게 정부가 오간 내용을 숨기자 대북 전문가들은 "정보의 흐름을 의도적으로 막으면 내부 갈등과 혼란만 확대·재생산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