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상들 "글로벌 현안 결론은 서울서"…기회이자 위기될듯

[토론토 G20 정상회의 폐막]<br>■ G20 서울회의 체제 공식 출범<br>구체적 성과 도출땐 글로벌위상 크게 높아져<br>입장차 조율 실패하면 국제망신 초래 할수도

이명박 대통령은 27일(현지시간) 캐나다 토론토에서 폐막한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글로벌 금융안전망(GFSNㆍGlobal Financial Safety nets)의 구체적 성과가 서울 G20 정상회의 때 도출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로써 이 대통령은 '서울 G20 정상회의' 체제의 공식출범을 세계에 알린 셈이다. 서울 G20 정상회의는 개도국으로서는 처음으로 세계 경제질서의 새 판을 짜는 국제회의의 의장국을 맡게 된다는 의미 자체만으로도 대한민국의 글로벌 위상을 강화시키는 절호의 기회라 할 수 있다. 게다가 서울 정상회의에서 산적한 글로벌 경제현안들에 대한 해법이 제시될 경우 우리나라는 선진국과 후발국의 가교역할을 맡아 '작지만 강한' 리더십을 전세계에 각인시킴으로써 국제무대의 중심으로 우뚝 서게 되는 계기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단 이 대통령은 이번 토론토 회의에서 공동 의장이자, 차기 주최국 정상으로서 강력한 리더십을 보임으로써 서울 정상회의의 성공 가능성을 밝게 했다. 이 대통령은 이번 토론토 회의에서 차기 G20 정상회의 개최국 정상 자격으로 국제통화기금(IMF) 쿼터 조정 시한을 오는 11월로 못박게 하는 등 강한 인상을 심어줬다. 무엇보다 토론토회의 논의에서 이 대통령의 역할은 주도적이었다. 이 대통령은 이번 회의에서 ▦IMF 쿼터 조정 시한 단축 ▦글로벌 금융안전망 구축 노력 ▦개발의제 논의 제안 ▦화석연료 보조금 점진 철폐 이행사항 평가 ▦재정건전화 계획의 국가별 이행 등의 결론을 도출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했다고 정부 관계자들은 전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의 기간 각국 정상 가운데 유일하게 세 차례나 지정발언을 해 주목받았다. 이 대통령은 전날 업무만찬과 이날 업무오찬 선도발언을 통해 "서울 정상회의에서는 한국이 의장국으로서 에너지 가격변동성 완화에 관한 구체적 성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비효율적 보조금 철폐 권고에 대한 공동보고서 제출 등의 사항을 서울 G20 정상회의에서 평가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또 마지막 세션에서 '서울 정상회의를 전망하며'라는 제목의 특별발언을 통해 서울 정상회의에서 글로벌 금융안전망과 개발 문제를 신규 의제로 추가하겠다고 밝히고 성과 도출을 위한 협조를 요청했다. 사공일 G20정상회의준비위원장은 "이 대통령의 세 차례 연설은 의장국으로서 한국의 위상을 보여주는 것이고 이 대통령의 리더십을 인정하는 것"이라며 "공동 선언문에도 이 대통령의 발언이 제대로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토론토 회의에 참석한 G20 정상들도 하나같이 "결론은 서울에서"라고 입을 모으며 서울 회의에 강한 기대를 내비쳤다. 사공 위원장은 "이번 회의에서 느낀 점은 (정상들) 모두가 서울 회의에 가서 하자는 식이었다는 것이다. 내용 면에서 (서울 회의의) 준비회의 같았다"고 전했다. 하지만 서울 회의가 실패할 경우 위기가 올 수도 있다. 특히 이번 토론토 회의처럼 서울 회의에서도 선진ㆍ개도국 간, 미국ㆍ유럽 간, 무역적자국ㆍ흑자국 간 입장차이를 좁히지 못한 채 흐지부지 끝날 경우 '개도국의 대표'로서 국제적 망신을 자초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서울 정상회의는 할 일이 워낙 많아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고위험 고수익)이라고 할 수 있다"면서 "이번에 잘 하면 아주 유명해지고 잘못하면 이머징마켓 시켰더니 못했다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