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KDI “실물경기 하강국면 심화…”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대부분의 경기지표가 부진을 면치 못하고 수출마저 증가세가 둔화되는 등 실물경기의 하강국면이 심화되고 있으나 유가안정 지속으로 교역조건이 개선되는 등 긍정적인 요인도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KDI는 5일 `5월 경제동향` 보고서에서 지난 4월 산업생산 증가율이 전년동월 대비 1.8%에 그친 반면 소비ㆍ투자부진으로 재고증가율은 지난해 12월 이후 꾸준히 높아져 11.5%에 달했다며 소비위축이 생산과 투자부진을 불러오는 악순환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현재 경기수준을 보여주는 4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도 99.1로 3개월 연속 하락하고 5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도 84.7로 7개월 연속 100 미만을 기록하는 등 체감경기 역시 더욱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했다. 특히 지난 2년여간 내수와 고용을 지탱해왔던 서비스 부문 침체가 더욱 심각해 3월 서비스생산이 전년동월 대비 0.3% 줄어들어 99년 지수작성 이래 처음으로 감소한데다 아직 발표되지 않은 4월 서비스 생산지표는 더욱 악화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게다가 내수부진을 상쇄해오던 수출도 5월 중 증가율이 4.4%로 4월(19.6%)에 비해 크게 둔화된 점도 경기부진의 징후로 꼽았다. KDI는 그러나 이라크전 종결로 국제유가 안정과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 가격의 급락세가 멈춰 2ㆍ4분기 교역조건이 1ㆍ4분기에 비해 다소 개선될 것으로 추정했다. 또 북한 핵문제로 급등세를 거듭하던 외평채 가산금리 역시 5월에는 0.8%대까지 하락한 것도 `긍정적 지표`가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임석훈기자 shim@sed.co.kr>

관련기사



임석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