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FTA로 활짝 열리는 시장] 섬유산업 FTA효과 극대화 하려면

R&D 투자 확대·IT 접목해 고부가화 주력<br>원산지 검증시스템 구축…마케팅·PR 강화도


지난 1960~1970년대 산업화 초기 우리나라 경제성장을 주도해온 섬유산업은 1990년대 이후 사양길로 접어들었다. 기술개발보다 가격경쟁에 치중하다 중국 등 후발국가의 저가 공세에 밀려 상당수 업체들이 몰락하는 비운을 맛본 것. 하지만 이처럼 성장의 한계에 직면했던 섬유산업에 최근 부활의 신호탄이 켜졌다. 그 배경에는 국내 섬유산업의 세 번째, 네 번째 수출시장인 미국ㆍ유럽연합(EU)과 잇달아 체결한 자유무역협정(FTA)이 자리잡고 있다. 전체 섬유수출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기준 9.5%로 중국(19.6%)과 베트남(11.3%)에 이어 세 번째, EU는 8.0%로 네 번째 수출시장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대미ㆍ대EU 섬유 수출량은 꾸준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의 대미 섬유 수출은 2009년 기준 11억달러로 2000년 이후 연평균 12.4% 감소했으며 대EU 수출도 2009년 9억달러로 2005년 대비 23% 줄어들었다. 이들 선진국시장에서 중국ㆍ베트남ㆍ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개발도상국과 가격경쟁이 되지 않아 열세로 밀려났기 때문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미국 및 EU와 체결한 FTA는 가뭄에 단비와 같은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에서는 관세폐지로 미국과 유럽시장에서 우리의 주력 수출품목인 화섬제품과 니트직물ㆍ양말류 등의 수출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FTA로 미국과 EU시장에서 한국산 섬유제품이 점유율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는 것. 문제는 FTA 효과를 어떻게 극대화하느냐에 달려 있다. 전문가들은 우선 단순히 관세인하 및 폐지에 따른 가격경쟁력만 앞세우다가는 FTA의 효과를 지속시키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결국 중국 및 동남아국가와 가격경쟁을 해야 하는 범용 섬유제품보다는 기술개발을 통한 차별화 제품을 내세워 FTA의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박창규 건국대 섬유공학과 교수는 "관세가 인하되더라도 아무나 만들 수 있는 기존 제품으로는 선진국시장에서 경쟁이 안 된다"면서 "물류비용을 감안할 때 기능성을 강조하거나 정보기술(IT)을 접목한 차별화된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승부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섬유업체들 역시 FTA 발효 이후 시장선점을 위해 연구개발(R&D) 투자를 늘리는 등 발 빠른 준비에 나섰다. 휴비스의 한 관계자는 "관세철폐로 미국시장의 주요 경쟁상대인 대만 업체보다 비용 측면에서 유리해지기 때문에 그만큼 R&D에 추가 투자해 제품의 질을 높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또 원산지 기준을 맞추는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FTA에 따른 관세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섬유제조 공정상 역내에서 생산된 원사와 직물을 사용해야 한다는 '원사기준(얀포워드)'을 충족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이경호 지식경제부 미래생활섬유과장은 "FTA는 원산지 증명이라는 기본 전제를 충족해야만 관세혜택을 받을 수 있는 만큼 섬유업체들은 사전에 정부의 지원제도를 잘 활용해 생산자 정보를 구축하는 등 철저한 준비작업을 진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FTA 발효 이후 공격적인 마케팅과 홍보(PR)를 통해 우리 제품의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작업도 필요하다. 배승진 한국섬유산업연합회 상무이사는 "FTA 전략수립과 더불어 국내외 전시회, 시장개척단, 바이어 방문상담 등 적극적인 마케팅을 벌여 우리 섬유제품을 소개하고 시장의 반응을 다시 제품 및 공급 시스템에 피드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