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신용카드 대란 방지대책은 뒷북 정책"

재경부 간부혁신워크숍에서 자성의 목소리

"신용카드 대란 방지 대책은 뒷북 정책이었다" 민간 경제전문가들의 입에서 나온 소리가 아니라 신용카드 대란 방지 대책 수립에 관여했던 재정경제부 간부들의 냉철한 자기비판이다. 지난 26일부터 27일까지 경기도 용인의 삼성인력개발원에서 `재경부가 망하는시나리오'라는 주제로 열린 재경부 간부 혁신 워크숍에서 우리나라 경제 정책의 사령탑을 자처하는 재경부 간부들의 입에서 자성의 목소리가 쏟아졌다. 재경부가 한덕수 경제 부총리와 차관, 3급 이상 국장, 각 국의 주무 과장들이참석한 워크숍에서 자신들이 몸담고 있는 부처가 망한다는 극단적인 주제를 선택한것은 망하는 길을 알면 생존 방법도 알 수 있다는 역발상의 논리였다. 간부들은 재경부가 망한다는 의미로 경제정책을 제때 수립하지 못해 국민의 신뢰도가 떨어지고 경제종합부처의 조정기능을 상실해 다른 기관으로 흡수되거나 해체되는 것으로 의견을 모았다. 또 재경부가 망할 수 있는 내부적 요인으로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은 ▲경기상황 진단 실패 ▲정책일관성 부족 ▲뒷북 정책 ▲정책수립 절차의 합리성.투명성 결여 ▲중장기 비전 결여 ▲인기영합 선심 정책 ▲`막가파식' 정책 등을 꼽았다. 외부적 요인으로는 ▲시장.여론.언론의 의견 무시 ▲정치적 외풍 ▲`모피아'로표현되는 집단우월 의식 ▲보신주의.복지부동 등이 지적됐다. 특히 뒷북정책으로는 수 많은 신용불량자가 쏟아진 뒤에야 부랴부랴 수립한 신용카드 대란 방지대책 등이 거론됐다고 재경부는 전했다. 한 국장은 "솔직히 과거에 땜질식 정책을 만든 경험이 있고 이런 정책은 일관성을 잃게 돼 국민의 신뢰가 떨어질 수 밖에 없다"고 자기 반성을 했다. 다른 국장도 "국민의 목소리와 만족도를 무시하고 전시 행정을 일관한다면 국민에게 외면당해 서서히 뜨거워지고 있는 물속에서 자신이 죽는지도 모르는 개구리 신세가 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장시간의 토론에서 국민의 신뢰를 받는 재경부가 되기 위한 해법으로는 국민의정책 수요 수렴, 정기적 정책 수용도 조사, 대국민 경제토론회 정례화, 여.야.정 정책 협의 활성화, 대국민 다짐헌장 채택 등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됐다. 민간 경제연구소 관계자는 "재경부가 자기 반성을 통해 새로운 변화를 시도한다는 측면에서 고무적"이라면서도 "워크숍에서의 자기 반성이 현실에서 어떻게 나타날지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상원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