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 노사가 전면파업 64일만인 25일 전격적으로 합의안 도출에 성공, 사실상 파업이 종결됐다. 하지만 회사와 임직원 모두 장기 파업으로 인해 상당한 후유증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노조, 원칙ㆍ여론 밀려 손들어=코오롱 노사는 이날 임금동결, 주 40시간 4조3교대 근무, 무노동무원칙 적용, 민형사상 모든 고소ㆍ고발 취하 및 징계 최소화 등을 골자로 한 임ㆍ단협 및 신규투자 별도 합의서에 동의했다.
그러나 합의안의 대부분은 이미 노사가 공감대를 다진 것이었다. 노조는 또 합의안에서 신규투자와 관련된 3개 생산공정에 파업 등 비상시에도 공장가동이 가능하도록 협정근로자를 두기로 했다. 노조가 파업 투쟁의 명분으로 내건 마지노선인 ‘협정근로 거부안’에서 조차 한 발 물러선 것.
대신 회사는 파업 기간 동안 발생한 고소, 고발을 취소하고 노조원에 대한 해고 등 징계를 최소화하기로 했다. 64일 동안 파업을 벌였으나 노조가 얻어낸 것은 파업 기간 중 발생한 불법 행위 등에 대해 사측으로부터 ‘면죄부’를 받은 것 뿐이다.
코오롱 관계자는 “노사 간 합의내용은 이미 파업 초기부터 결정된 것들이 대부분”이라며 “사측이 원칙적 대응에 나서고 여론마저 등을 돌리자 노조가 결국 물러선 것 같다”고 말했다.
◇장기성장 발판은 마련= 64일간의 파업으로 코오롱은 약 650억원의 매출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순 피해액도 1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장기파업으로 인한 노사 및 노노 갈등의 골이 깊어진 데다 장치산업 특성상 공장의 정상 가동에도 상당한 시일과 비용이 소요될 전망이다. 송계선 동원증권 연구원은 “파업에 따른 영업 손실이 상당한 데다 시장 상황도 좋지 않아 올해 코오롱은 적자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노사 양측이 경쟁력을 상실한 사업철수에 합의하고 신규사업 본격화에 공감대를 마련, 사업 구조조정의 계기를 만든 점은 평가할 만 하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화섬업계 관계자는 “코오롱이 어렵게 만들어낸 노사 합의로 장기적인 성장의 토대는 만들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