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투자의 창] 가계저축률의 불편한 진실

김경록 미래에셋 은퇴연구소장


지난 1998년 외환위기를 기점으로 20~25%대에 달했던 가계저축률은 3% 수준까지 하락했다. 2010년대 들어서는 조금씩 반등해 지난해 기준으로는 가계저축률이 7.1%를 기록했다. 연령대 별로 보면 최근 20년 동안 40~50대의 저축률이 가장 많이 줄어들었다. 소득이 많은 연령대지만 오히려 저축률이 크게 하락한 것이다.


연령대 별 생애 소득을 기준으로 저축률을 그래프로 그린다면 ‘역 U자형’을 보이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40대에서 저축률이 떨어져 30대 이하보다 낮아지고, 50대 이상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N자형’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교육비 등으로 40대의 저축률이 떨어지고, 자녀가 학업을 마친 50대를 넘어서야 다시 저축이 많아진다. 실제 1998년에 40대 인구는 620만명이었고, 50대 인구는 420만명이었는데 2008년에는 각각 200만명 안팎으로 늘어났다. 지난해 기준으로는 40대 인구가 840만명이고, 50대 인구가 790만명이다. 40대 인구는 최근 6년간 정체 상태에 있는 반면 50대는 같은 기간 동안 200만명 가까이 증가한 셈이다.

관련기사



이러한 인구 비율 변화의 특성과 함께 주택 구입 자금조달 방식의 변화도 가계저축률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외환위기 이후 기업의 자금수요가 급감하면서 은행은 기업대출에서 가계대출로 주력 사업을 바꿨다. 개인 입장에서는 차입이 편해진 것이다. 과거에는 집을 사기 위해 적금을 넣어 목돈을 만들면서 모자라는 부분은 은행에서 빌려서 집을 구입했다. 이에 반해 외환위기 이후에는 돈을 먼저 빌리고 이를 갚아가는 방식이 됐다. 대출 원리금을 분할 상환하지 않고 계속 연장하다 보니 부채가 쌓여 약 1,100조원에 이르게 됐다.

가계저축률은 크게 떨어졌지만 기업저축률은 외환위기 이후 가파른 증가세를 보여 외환위기 이전에는 10%대였지만 최근 들어서 20%를 넘어섰다. 외환위기 이전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속한 국가 중에서 선두권을 달린 가계저축률은 하위권으로 떨어졌다. 반면 기업저축률은 중하위권에서 선두권으로 올라섰다. 우리나라의 가계는 일반적으로 주식을 보유하지 않기 때문에 기업의 이익이 증가한 부분에 대한 과실을 골고루 향유하지 못한다.

외환위기 이후 지속된 낮은 가계저축률은 가계가 성장의 과실을 적게 향유했고, 교육비나 주택구입 때문에 노후를 대비한 저축을 적절한 시기에 하지 못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다. 아울러 금융조달 방식이 다양해지면서 가계가 계속 부채를 늘려갔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은퇴를 앞둔 인구가 약 700만명으로 추산되지만 ‘노후 방파제’는 여전히 취약하다는 의미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