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연말특수 실종' 유통업계 초비상

'연말특수 실종' 유통업계 초비상 • 백화점 세일매출 막판 '↓' 기현상 연말연시 대목을 앞두고 유통업계에 초비상이 걸렸다. 백화점은 물론이고 명품, 주류, 자동차 등 소비재 부문도 "연말 특수가 실종됐다"며 한숨을 내쉬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 현대, 신세계 등 대형 백화점들은 매출 부진을 만회하기 위해 작년에 이어 올해도 송년 세일을 대대적으로 펼쳤으나 꽁꽁 얼어붙은 소비심리를 살리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현대백화점과 신세계백화점은 3∼12일 송년 세일 매출이 작년 동기에 비해 각각3.7%, 2.2% 줄었다. 롯데백화점 역시 전국 20개 점포의 매출이 작년 동기보다 1.8% 늘어나는 데 그쳤다. 롯데백화점 이창원 부장은 "물량을 쏟아부어 그나마 마이너스 성장을 면한 것"이라며 "내수는 아직 회복 조짐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특히 경기에 민감한 신사복 매출이 크게 줄어들어 경기침체를 그대로 반영했다. 롯데백화점 신사복 매출은 작년보다 7.6% 감소했으며 신세계백화점은 두 자릿수의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경기가 나빠지면 신사복 구매부터 줄이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신사복 매출 동향은 실물 경제의 지표로 통한다. 이처럼 송년 세일 성적이 영 신통치 않자, 백화점들은 송년 세일이 끝나자마자다시 대규모 사은행사를 벌인다. 롯데백화점은 13∼16일 수도권 전점에서 15만원 이상 구매고객에게 상품권 1만원권을 준다. 현대백화점은 17∼26일 수도권 7개점에서 사은행사를 열고 15만원 이상 구매한고객에게 구매금액의 7%에 해당하는 상품권을 증정한다. 신세계백화점도 17∼26일 점포별로 사은행사와 각종 기획행사를 연다. `불황 모르던' 명품 브랜드들도 앞다퉈 가격 인하에 나서고 있으며 급기야 할인점 떨이상품으로 대거 쏟아져 나오고 있다. 롯데마트 월드점은 16∼31일 `직수입 수입명품 대전'을 열고 프라다, 페라가모,구찌, 아르마니, 에트로, 에스까다, 막스마라 등 20여개 명품 브랜드의 의류, 패션잡화 1만여점을 한자리에서 판매한다. 신상품은 정상가보다 30%, 이월상품은 50∼80% 할인된다. 술시장도 사정은 마찬가지. 특히 위스키 업계가 내수침체에 접대비 실명제, 성매매 특별법 등 연이은 악재로 직격탄을 맞았다. 디아지오코리아, 진로발렌타인스, 롯데칠성 등 5대 위스키업체의 1∼11월 판매량은 235만9천453상자(500㎖짜리 18병)로 지난해 같은 기간(292만8천448상자)에 비해 19% 감소했다. 불황에 잘 팔리는 `서민의 술' 소주까지 판매가 감소하고 있다. 소주 판매량은 올 들어 10월까지 8천325만5천상자(360㎖짜리 30병)에 그쳐 작년동기(8천360만상자)보다 0.4% 감소했다. 자동차업계도 내수 침체를 돌파하기 위해 연말 대대적인 할인 판촉전을 벌이고있다. 기아차는 12월 한달간 카니발 구매 고객에게 1년치 유류비조로 300만원을 지원한다. GM대우차는 전 차종 36개월 무이자할부, 60개월 장기저리할부 등 고객 부담을줄일 수 있는 상품을 내놓았으며 쌍용차는 계약금을 제외한 나머지 차량 구입비용에대해 무이자 할부를 적용하는 등 업체마다 고객 끌기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황윤정기자 입력시간 : 2004-12-14 09:05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