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서비스 로봇산업 3대 강국으로

2018년까지 시장규모 20조원대로 육성

1조원대의 국내 서비스 로봇산업 규모를 오는 2018년까지 20조원대로 키워 세계 3대 로봇강국으로 발돋움한다. 지식경제부는 9일 정부 과천청사에서 열린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서비스 로봇 산업 발전 전략'을 내놓았다. 지경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선진국과 2년6개월 정도 벌어진 로봇 기술 격차를 2018년까지 선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또 현재 100억달러에 달하는 전세계 로봇 시장에서 10%에 불과한 국산 로봇의 점유율을 2018년까지 20%까지 올릴 계획이다. 정부의 계획대로라면 현재 10억달러에 불과한 우리나라의 로봇시장 규모는 8년 후에는 200억달러로 크게 확대된다. 로봇산업을 자동차와 반도체를 잇는 차세대 일등산업으로 육성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선제적 해외시장 진출 지원 ▦기술경쟁력 제고 ▦성장기반 확충 등 3대 분야에서 10개 전략을 적극 펼쳐나가기로 했다. 특히 내년부터 의료나 교육∙오락∙소방∙방범 등 수출 가능성이 높은 서비스 로봇 분야를 8~10개 선정해 범부처가 합동으로 로봇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이 사업에는 300억원의 정부 예산이 투입된다. 이와 관련해 다음달 중 '범부처 로봇사업 마스터플랜'도 수립된다. 또 시범사업의 지역을 국내로만 국한하기보다는 해외 현지에 적합한 기술과 바이어를 확보하기 위한 '해외테스트베드 구축' 사업도 함께 추진된다. 로봇산업의 성장기반 확충을 위해서 로봇 마이스터고를 지정하고 대학 내 로봇연구센터도 현재 8개교에서 2013년까지 15개교로 늘리기로 했다. 지식경제부의 한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경우 제조용 로봇은 선진국에 비해 뒤처져 있지만 서비스로봇은 세계시장을 선점할 잠재력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며 "특히 로봇은 대표적인 융합산업인 만큼 산업 전반에 걸쳐 연관 효과가 크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