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수도권 분양시장 햇볕드나

11·3대책 발표후 문의 늘어 거래 활성화 기대 모락모락<br>지방은 변화 분위기 없어 양극화 심화될듯

정부의 11ㆍ3대책 이후 강남권뿐 아니라 숨죽였던 인천ㆍ경기 등 수도권 지역 분양시장에도 변화의 조짐이 엿보이고 있다. 아직 본격적인 거래로 나타나지는 않고 있지만 아파트 모델하우스에 문의전화가 늘어나는 분위기다. 반면 지방 미분양시장은 이번 대책에도 전혀 변화의 분위기가 감지되지 않고 있어 오히려 분양시장 양극화가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11ㆍ3대책에 따른 주택투기지역ㆍ투기과열지구 해제로 서울 등 수도권 일대 아파트 모델하우스에는 전화문의 등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양시 식사동 일산위시티자이 모델하우스의 한 관계자는 “발표 직후 수요자들의 관심이 커진 것은 분명하다”며 “문의전화가 조금 늘어나고 있다”고 전했다. 현대건설의 서울 불광동 힐스테이트 모델하우스 역시 하루 80~90통이던 문의전화가 11ㆍ3대책 발표 후에는 150여통 안팎으로 늘어났다. 회사의 한 관계자는 “대출 범위와 전매제한 해제와 관련한 문의가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반면 수도권이라도 비인기 지역은 미분양 해소 기미가 전혀 보이지 않고 있다. 오히려 투기과열지구 해제로 전매제한이 크게 완화되면서 분양권 전매 가능 여부를 묻는 기존 계약자들의 문의만 늘고 있는 실정이다. 파주신도시 A아파트 관계자는 “대책 발표 후 문의전화가 늘었지만 대부분 기존 계약자들”이라며 “일부 계약자들은 전매가 허용되면 분양가보다 낮춰서라도 팔겠다는 분위기여서 오히려 더 어려워질까 걱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지방 분양시장은 대책 후에도 시장이 움직일 기미는 어느 곳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대구에서 아파트를 분양 중인 D사 관계자는 “아직 좀더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하겠지만 지금 상황으로는 이번 대책으로 미분양 물량 감소를 기대하기는 힘들 것 같다”고 밝혔다. 부산에서 1,000여가구의 대단지를 분양 중인 A사 역시 “입주가 연말로 다가왔는데 대책 발표 후에도 미분양 매입의사를 묻는 수요자는 거의 없는 실정”이라며 “지방 아파트에 대한 정부의 대책이 기대에 못 미친 것도 원인인 것 같다”고 전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지방 아파트의 경우 분양가가 시세를 훨씬 웃돌다 보니 양도소득세 자체를 아예 없애지 않는 한 시장이 회복될 가능성이 없다“고 설명했다. 당초 일부에서는 지방 미분양 아파트에 대해서는 기존 주택 보유 여부에 관계없이 양도소득세를 부과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지만 11ㆍ3대책에서는 세율 조정과 거주 이전 등 실수요자에 대한 중과 배제 선에 그쳤다. 정태희 부동산써브 연구원은 “최근 정부의 규제완화안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오히려 지방 미분양에 대한 관심은 더욱 줄어들 수 있다”며 “당분간 수도권과 지방 간 격차가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