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젊은 '유방암' 급증… "이른 초경·고령출산 등이 원인"

40대 유방암 가장 많아…"35세 미만도 유방암 검진 받아야"

이른 초경과 고령 출산, 식습관의 서구화, 비만인구 증가 등에 따른 50세 이전의 '젊은 유방암'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과 유럽 지역 국가들의 경우 60세 이상 연령대에서 유방암이 주로 발생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40대에서 유방암 발생이 잦은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아산병원 유방암클리닉 안세현.손병호 교수팀은 지난 89년부터 2004년까지병원에서 유방암 수술을 받은 환자 5천1명을 대상으로 15년간의 유방암 실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 환자의 64.9%가 50세 미만의 폐경 전 환자였으며 유방암이 가장 잦은연령대는 40대(41.7%)로 분석됐다고 27일 밝혔다. 의료진이 분석 대상으로 삼은 유방암 환자 5천1명은 국내 전체 유방암 환자의 11%에 달한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의학협회지(JAMA) 2월호에 실렸다. 논문에 따르면 정기 검진을 통해 유방암을 진단 받은 무증상 환자의 비율은 1991년 3%에서 2003년 21%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또 유방암 0기 및 1기의 조기 유방암은 1991년 34.2%에서 2003년 48.8%로 꾸준히 증가한 반면 진행성 유방암은 1991년 65.8%에서 2003년 51.2%로 지속적인 감소추세를 보였다. 수술 방법은 유방암 절제술 후 유방을 복원하는 `유방보존수술'이 1991년 5.1%에서 2003년 39.1%로 크게 증가한 것과 달리 단순 유방절제수술은 계속 줄었다. 환자들의 병기별 5년 생존율을 보면 0기 98.5 %, 1기 95.3%, 2기 86.0%, 3기 65.0%, 4기 29.3% 등으로 전체 생존율이 84.1%에 달했다. 눈에 띄는 점은 유방암 위험 원인을 갖고 있는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 그 중에서도 `이른 초경'과 `늦은 첫 출산'이 두드러졌다고 의료진은 보고했다. 유방암과 관련된 몸속 `BRCA 유전자'의 돌연변이도 7.6%에서 발견됐다. 예를 들어 외조모나 엄마, 언니나 여동생이 유방암 발생에 관계되는 유전자가있는 사람은 평생을 살면서 유방암이 걸릴 가능성이 80%로 매우 높다는 게 의료진의설명이다. 의료진은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국내 유방암 환자의 특징으로 ▲절대 환자수 급증 ▲젊은층 유방암 환자 급증 ▲무증상 유방암 환자 증가 ▲유방보존수술 증가 ▲유방암 위험 요인 증가 등을 꼽았다. 논문의 제1저자인 손병호 교수는 "유방암은 체내 여성호르몬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초경 연령이 빨라질수록 몸은 여성호르몬의 영향을 더 많이 받게 되고, 여성호르몬에 노출되는 기간이 늘어나기 때문에 그만큼 유방암에 걸릴 확률이 커진다"면서 "육류를 많이 섭취하는 식습관도 체내에 여성호르몬 축적을 증가시켜 유방암의원인이 된다"고 설명했다. 손 교수는 또 "적당한 나이에 임신을 하게 되면 태반에 있는 호르몬이 여성호르몬이 유방에 주는 자극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면서 "하지만 늦은 나이에 임신하게되는 경우에는 여성호르몬의 분비량이 변화하면서 되레 유방암 위험을 높인다"고 말했다. 의료진은 비용대비 효과를 고려할 때 젊은 여성들에게 무조건 고가의 검진을 권장하기는 어렵지만 정상보다 초산.초경.폐경 연령이 늦고 수유경력, 출산력, 경구피임량 등이 많다면 35세 미만이라도 조기에 적극적인 유방암 검진을 받을 것을 권고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