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교육부 "수능 등급제 고수"

학부모 단체 정보공개 요구도 거부<br>대학들과 마찰 커질듯

전국 4년제 대학들의 모임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이하 대교협)’의 수능 등급제 개선 요구 움직임에 교육인적자원부가 ‘등급제 원칙 고수’ 입장을 밝혀 교육부와 대학 간 마찰이 예상된다. 교육부는 11일 전날 “등급 폭은 대학이 자율적으로 정해야 한다. (등급제 혼란과 관련) 대교협 차원의 회의를 열겠다”고 밝힌 이장무 서울대 총장의 기자간담회 발언과 관련, “등급을 대학 자율적으로 활용하게 한다면 등급제 근간이 흔들릴 것”이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우형식 교육부 대학지원국장은 이날 한 라디오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등급을 대학이 자율적으로 활용하게 한다면 아마 과거처럼 등급이 아닌 원점수ㆍ표준점수에 집착하려 할 것”이라며 “이는 등급제의 근간을 흔드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 국장은 또 “등급제 취지에 따라 학생부 성적을 좀 획기적으로 반영했어야 하는데 대학들이 여전히 수능 위주 전형에 집착하고 있다”며 이번 혼란의 책임을 대학 측에 돌렸다. 학생ㆍ학부모 일각에서 등급제 폐지 서명운동 및 위헌소송 움직임까지 일고 있고 수능 출제를 주관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홈페이지에는 연일 항의성 글이 쇄도하고 있지만 교육부는 ‘제도 시행 초기의 과도기적 현상일 뿐’이라는 시각이다. 이에 따라 원점수와 표준점수ㆍ백분위 등을 공개하라는 요구와 정보공개 청구까지 하겠다는 한 학부모 단체의 주장에 대해서도 “등급제의 취지를 훼손시키는 것”이라며 거부했다. 우 국장은 “1~2점 차이로 서열화하는 폐단을 막고 일정 등급에 속한 학생이면 모두 비슷한 잠재력을 가진 것으로 판단, 더 많은 대학진학 기회를 주자는 것이 등급제의 취지인데 점수를 공개해버리면 결국 과거의 점수제 체제로 돌아가는 것이나 다름없다”며 “개개인의 점수를 공개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등급제를 부정하는 것이고 학부모들의 정보공개 청구에도 응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