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김우중 前회장 귀국] '김우중 리스트'…정치권이 떨고있다

향후 정국 영향은<BR>비자금 수조원등 일부 정·관계로 유입 추정<BR>귀국목적 '명예회복'…명단공개 가능성 커<BR>舊與물론 현여당 지도부도 ‘태풍’ 반경에

‘김우중 정국’이 펼쳐질까.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의 귀국으로 정치권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이른바 ‘김우중 리스트’ 때문. 정치권에서는 지난 99년 대우해체까지 김 전 회장의 정치권에 대한 로비 대상 명단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실제 검찰에서는 김 전 회장이 수조원대의 비자금을 조성했고 그 중 일부가 정ㆍ관계 관계자들에게 흘러들어간 것으로 보고 있다. 김우중 리스트가 공개될 경우 정국에 새로운 파문이 일 전망이다. 관건은 김 전 회장의 리스트 공개 여부인데 현 정국 상황을 볼 때 그럴 개연성이 전혀 없지는 않아 보인다. 김 전 회장 귀국의 주목적이 그의 ‘명예회복’이란 점 때문이다. 김 전 회장의 최측근인 백기승 전 대우 홍보이사는 최근 모 방송 시사토론 프로그램과의 인터뷰에서 “김 전 회장이 귀국한다고 해도 과거 대우와 같은 규모의 기업활동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지 않겠느냐”며 “김 전 회장이 귀국하려고 하는 것은 한국경제를 침체시킨 파렴치범이란 낙인을 지우려고 하는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대우그룹 해체를 주도한 DJ(김대중 전 대통령) 정권이 저물던 2002년 말 이후 ‘김우중 귀국설’이 끊이질 않았던 것도 김 전 회장의 명예회복 의지와 무관치 않다. 김 전 회장도 과거 포천지와의 인터뷰를 통해 “김대중 대통령이 잠깐 해외에 나가 있으라고 해서 나왔는데 그후 소식이 없었다”며 억울함을 호소하기도 했다. 결국 김 전 회장의 귀국 후 활동은 자신의 명예회복에 집중될 게 확실하고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과거 정치권과의 검은 커넥션들이 드러나게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누가 이익을 보고 누가 손해를 볼까. 김우중 회장과 대우그룹의 전성기에 권력을 잡고 있던 구여권이 될 가능성이 크다. 국민의 정부 일부도 태풍권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 정권 입장에서는 손해볼 게 없는 카드라는 얘기다. 물론 김 전 회장의 귀국은 여권에도 부담이다. DJ 정부 시절 대우해체를 주도한 관료들이 현 여당의 지도부에 포진해 있기 때문. 김 전 회장이 명예회복의 일환으로 당시 대우해체가 과연 필연적 수순이었나를 물고 늘어질 경우 이들이 어떤 식으로든 설명에 나서야 한다는 점에서 김 전 회장 귀국의 폭풍권 반경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열린우리당 정책위 수석부의장을 맡고 있는 강봉균 의원 등 DJ 정부에서 대우해체에 관여한 고위관료는 당시 대우맨들이 대우의 5적이라고 부르는 이헌재 당시 금감위원장, 이기호 당시 청와대 경제수석 등이 있다. 물론 당시 대우 해체에는 이들 관료보다는 DJ의 측근들이 더 깊숙이 관여했을 것으로 짐작되지만 아직 이들이 누구인지는 명확히 밝혀진 게 없다. 이래저래 정치권은 숨을 죽이고 김 전 회장의 입을 주시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