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병·의원, CT등 고가장비 설치늘어

MRI(자기공명영상촬영장치), CT(전산화단층촬영장치) 등 특수 고가의료장비의 설치가 계속되고 있다.이는 고가장비의 실치 비용을 조기에 회수하기 위한 과다 진료 등으로 이어져 불필요한 국민의료비 증가와 건강보험 재정 누수 등의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다. 8일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분기별로 정부당국이 설치승인을 해주는 MRI의 경우 올들어 1.4분기(1∼3월) 14대, 2.4분기(4∼6월) 19대 등 모두 33대에 대해 승인이 났다. 이로써 지금까지 설치 승인된 MRI는 515대로 늘어났다. 지난 92년까지 승인된 MRI는 지금의 10분1 수준인 51대에 불과했다. 또 정부당국의 승인이 필요 없는 CT는 지난 4월말 현재 1,367대(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집계)로 파악됐고, 이 가운데 40.4%(552대)가 의원에 설치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 관계자는 "CT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인구 100만명당 보유대수가 일본, 오스트리아, 룩셈부르크 다음으로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며 "이들 고가장비는 초기 투자비용을 회수하기 위해 과다진료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국내에 도입되는 MRI 가격은 신품의 경우 14억원, CT는 5억원이 넘는다. 박상영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