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입학사정관제 도입 대학 내년 40곳 이상 예상

교과부, 최고 9억씩 지원 방침에 신청 늘듯


학생의 잠재력이나 특성을 따져 선발하는 입학사정관제를 도입하는 대학들이 내년에 40여곳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입학사정관 지원사업에 응모한 대학들 중 자격기준을 충족한 40개 대학을 선정, 대학별로 1억5,000만~9억원씩 모두 158억원을 지원한다고 20일 밝혔다. 이처럼 지원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당장 내년 입시부터 입학사정관 전형을 도입하는 대학이 훨씬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대학들이 채용할 전임 입학사정관은 41명(10개 대학)에서 200여명으로 입학사정관 전형을 통한 학생선발 인원은 최소 3,000명 이상으로 늘어날 예상이다. 교과부는 대학들이 입학사정관제를 도입할 수 있도록 지난해에도 10개 대학에 20억원의 재정을 지원했으며 올해 사업비 규모를 158억원으로 책정해 고려대ㆍ연세대ㆍ서울대 등 전국 40개 대학을 지원하고 있다. 대학들은 정부 지원금을 전임 입학사정관 채용, 시스템 구축, 입학사정관제 관리 및 운영 경비 등으로 사용한다. 지원대상 대학의 자격은 교원확보율 57.5% 이상(산업대 45% 이상), 신입생충원율 90% 이상의 조건을 충족하는 대학으로 제한했다. 올해 선정된 대학은 정상적 사업 추진을 전제로 3년간 지원 받으며 추진 성과에 따라 사업이 종료되는 오는 2012년까지 최장 5년간 지원 받을 수 있다. 이번에 입학사정관제 지원대학에 새로 선정된 곳은 건국대(충주)ㆍ건양대ㆍ경원대ㆍ고려대ㆍ공주대ㆍ동국대ㆍ목포대ㆍ배재대ㆍ부산대ㆍ서강대ㆍ서울시립대ㆍ서울여대ㆍ숙명여대ㆍ순천향대ㆍ아주대ㆍ울산과기대ㆍ이화여대ㆍ전남대ㆍ전북대ㆍ전주대ㆍ조선대ㆍ충남대ㆍ충북대ㆍ충주대ㆍ포항공대ㆍ한국외대ㆍ한동대 한림대ㆍ홍익대ㆍ카이스트 등이다. ˆ한편 입학사정관제도의 독립성과 객관성 확보를 위해 대교협은 입시 관련 윤리위원회를 구성하고 대학별로 입시공정관리위원회를 운영하도록 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