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 학급 학생수 15~43명… 서울 초등교 최대 3배差

도심은 줄고 재개발 지역등엔 몰려


서울시내 초등학교 별 학급당 학생 수가 최대 3배 가까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서울시 교육청에 따르면 은평구 역촌초와 성동구 행현초의 학급당 학생 수는 각각 43.4명, 41.1명이다. 이에 비해 종로구 교통초의 학생수는 15.5명에 불과하다. 역촌초의 3분의1 수준이다. 역촌초에서 담임을 맡는 교사는 교동초 교사보다 3배가량 많은 학생들을 맡아 가르친다는 얘기다. 교동초 다음으로 학급당 학생 수가 적은 곳은 용산초(18.6명), 강서 공진초(18.8명), 종로 숭신초(19.3명), 서초 언남초(19.4명), 중구 남산초(19.4명) 등으로 평균 20명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역촌초와 성동 행현초(41.1명), 관악 봉현초(40.8명), 양천 정목초(40.4명), 강서 등현초(40.4명), 양천 목동초(40.3명), 관악 구암초(40.2명), 강북 삼각산초(40.0명) 등은 학급당 학생 수가 평균 40명이 넘었다. 이 같은 차이가 나는 것은 도심지역 내 학교는 학생이 계속 줄고 있지만 학교 이전이나 통폐합이 쉽지 않고 재개발지역 등 특정 지역의 학교에는 학생들이 몰리기 때문이다. 시 교육청의 한 관계자는 “교동초나 숭신초는 도심 공동화로 학급당 학생 수가 20명 미만이지만 오랜 전통으로 이전이나 통폐합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일부 초교의 경우 ‘학교가 좋다’는 입소문을 타고 위장 전입하는 사례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교육계에서는 수백억원씩 들여 학교를 짓기보다 이전 및 통폐합을 통해 ‘빈 학교’가 생기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저출산으로 학생 수가 계속 줄어드는 상황에서 이 같은 문제가 더 심각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한편 시내 초등학생 수는 지난 2001년 76만2,967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뒤 점차 줄어들어 지난해 66만여명까지 떨어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