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日 ‘후생연금’ 고수익상품 투자

일본 정부가 최대 공적 연금인 후생연금을 헤지펀드나 사모주식펀드 등 고수익 상품에다 투자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12일 보도했다. 막대한 후생 연금 적자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되는데다 오랫동안 제로 금리 수준의 저금리가 유지되면서 연금 운용 수익률이 매년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 후생 연금의 고수익 상품 투자가 허용될 경우 헤지 펀드 등의 규모 확대에 따른 일본 금융 시장의 판도 변화는 물론 연금 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면서도 보수적 운용 방식을 고수하고 있는 다른 국가들에게도 상당 부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일본 후생연금은 소득에 비례해 연금을 지급하는 공적 연금으로, 한국 국민연금에 해당한다. 신문에 따르면 일본 후생 노동부 산하 특별소위원회는 세계 최대 규모의 공적 연금 운영 기관인 일본 공적연금투자펀드(GPIF)의 투자정책지침을 변경, 현재 국내외 주식과 채권 등에만 제한하고 있는 투자 대상을 헤지펀드ㆍ부동산ㆍ사모주식펀드 등 고수익 투자처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 후생부는 현재 투자 다양화 일단계 조치로 3,000억달러의 전체 자산 운용 규모 가운데 1%를 이들 고수익 투자처에 투자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의 이러한 조치는 빠르게 전개되는 고령화로 경제 활동 인구는 줄어드는 반면 연급 지급 대상 인구는 늘어나면서 막대한 연금 적자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돼 운용 수익률 상승 압박이 커지고 있기 때문. 연금 운용방식을 현행처럼 유지할 경우 일본 후생연금은 오는 2010년 6조엔 가까운 적자를 기록한 뒤 2022년에는 재원이 완전 바닥날 것으로 지난 8일자 FT는 전망했었다. 특히 저금리가 지속되면서 연금 운용 수익률도 크게 떨어져 지난 해 후생연금은 8.5% 손실을 기록했었다. FT는 3,000억달러의 자산 규모를 갖고 있는 GPIF의 투자 대상 확대 조치가 확정될 경우 이는 연금 투자처 다양화에 일본 정부의 공식 승인을 의미하는 것으로, 다른 일본 공적 연기금들도 투자 대상 확대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최윤석기자 yoep@sed.co.kr>

관련기사



최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