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SKT, 中 모바일 게임 수출 추진

해외판권 온라인 관리시스템 구축… 하반기부터 판매 본격화

SK텔레콤이 중국에 모바일 게임 수출을 추진한다. SK텔레콤은 중국 모바일 게임시장 진출을 위한 시스템 구축을 끝내고 국내 모바일 게임업체와 손잡고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게임 수출에 나설 계획이라고 19일 밝혔다. SK텔레콤은 모바일 게임의 해외 판권을 온라인으로 등록, 관리, 정산할 수 있는 GLB(Game License Bank) 시스템을 구축한데 이어 이날 게임의 해외 판매를 신청할 수 있는 온라인 사이트(glb.nategames.co.kr)를 개설했다. 국내 모바일 게임업체는 이 사이트에서 해외 판매가 가능한 자사의 모바일 게임을 등록하면 판매가 가능하다. 등록된 모바일 게임 리스트는 이동통신사 등 모바일 사업을 진행하는 해외 구매처에게 제공된다. 구매처가 선택한 모바일 게임은 SK텔레콤과 정식 해외 판권 계약을 체결한 후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마케팅 등을 SK텔레콤으로부터 지원받게 된다. 우선 SK텔레콤은 모바일 게임의 글로벌 진출 교두보를 중국으로 정하고 중국 현지 자회사인 비아텍, 유니에스케이 등과 함께 구매처 확보를 추진 중이다. 또 게임전문 자회사와 중국 현지 게임업체에 콘텐트 변환을 주문해 전문성을 확보할 방침이다. SK텔레콤은 현재 국내에서 무선 네이트를 통해 서비스되고 있는 300여종의 모바일 게임이 해외 판매를 신청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SK텔레콤은 해외 판권 등록 절차가 끝나는 대로 심의를 통해 1차로 중국시장에 선보일 60~100종의 모바일 게임을 선정, 하반기부터 중국 이통사에 판매할 계획이다. 문화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중국 모바일게임 시장은 지난해 8억2,100만달러에서 올해 10억2,100만달러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SK텔레콤은 국내 모바일 게임업체와 함께 중국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함으로써 상생을 통한 글로벌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는 구상이다. SK텔레콤은 올해는 중국, 동남아, 일본 등아시아 시장 공략에 주력하고, 성과에 따라 유럽 등으로 진출 국가를 늘려간다는 계획이다. 이진우 SK텔레콤 데이터 사업본부장은 "이번 사업은 국내 게임업체와의 상생 에코시스템 구축이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며 "모바일 게임 업체와 규모의 경제를 확보, 효율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의 새 모델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