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서울 노후 다세대 밀집구역 '폭탄 돌리기' 판친다

"일부지역은 재개발 미지정 구역 집값이 더 비싼 기현상도"<br>"소문에 현혹되지 말고 재개발 구역 지정 여부 신중히 살펴야"

서울 노후 다세대 밀집구역 '폭탄 돌리기' 판친다 "일부지역은 재개발 미지정 구역 집값이 더 비싼 기현상도""소문에 현혹되지 말고 재개발 구역 지정 여부 신중히 살펴야" 서일범기자 squiz@sed.co.kr 서울 노후 다세대주택 밀집구역에서의 ‘폭탄 돌리기’가 여전해 주의가 요망된다. 재개발에 대한 기대감으로 집값이 ‘브레이크 없는 질주’를 계속하고 있지만 실제 재개발구역 추가 지정은 언제 이뤄질지 요원한 곳이 부지기수다. 때문에 재개발예정지역에 투자할 때는 실제 추진 여부를 세심히 살펴봐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서울 성북구 정릉동은 재개발을 둘러싸고 집값이 난맥상을 보이고 있는 대표적 지역이다. 재개발구역으로 지정된 곳보다 재개발 미지정 구역의 집값이 더 비싼 기현상마저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초 4차 뉴타운으로 지정된다는 소문이 돌기 시작하면서 집값이 오른 이 지역은 지난 4월 오세훈 서울시장이 “추가 뉴타운 지정은 없다”고 못박았지만 ‘뉴타운’이 ‘재개발’로 이름만 바뀌었을 뿐 개발에 대한 기대로 오름세가 여전하다. 뉴타운은 어려워졌지만 재개발은 가능하다는 게 현지 반응이다. 실제로 지난해 6월 9,000만원선에서 거래되던 대지 지분 기준 9㎡ 다세대빌라는 1년 새 1억원 이상 뛰어 현재 2억원선에서 매매가 이뤄지고 있다. 이는 재개발 예정구역인 정릉3구역 같은 면적보다 7,000만~8,000만원가량 비싼 가격이다. 정릉동 소재 정릉공인중개의 한 관계자는 “미지정 구역의 경우 3.3㎡당 평균 가격이 지난해 1,000만원 수준에서 현재 2,000만원을 호가하고 있다”며 “재개발구역으로 지정되면 가격이 더 오르기 때문에 투자를 서둘러야 한다”고 부추겼다. 서울시는 추가 재개발은 없다는 입장이다. 재개발구역 지정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기본계획 재정비가 선행돼야 하는데 이조차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서울시 주거정비과의 한 관계자는 “현재 성북구에서 재개발 기본계획에 관한 추가 접수조차 안하고 있다”며 “기본계획이 수립돼야 (재개발구역) 지정이 이뤄지든 말든 할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서울 관악구 봉천동 일대 역시 사정은 비슷하다. 재개발 기대 속에 지난 1년간 집값이 1억원 이상 올랐지만 관할구청에서는 추가 재개발 계획은 없다는 기존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다. 근거 없는 뜬소문에 투자자들만 골탕을 먹고 있는 셈이다. 황용천 와이플래닝 대표는 “재개발 소문만 믿고 해당 지역에 뛰어들면 낭패를 볼 수 있다”며 “재개발사업의 진행 추이를 지켜보면서 투자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