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수지·외환보유액과 함께 대외건전성 3대 지표로 꼽히는 단기외채 비중이 30%에 육박하며 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외환위기(40%대), 금융위기(50%대) 때보다 낮지만 주요 신흥국 중 높은 수준이어서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일 한국은행은 단기외채 비중(총외채 중 단기외채)이 2·4분기 말 현재 28.8%로 2013년 2·4분기(29.2%) 이후 가장 높았다고 밝혔다. 이는 직전 분기인 1·4분기보다 1.9%포인트 오른 것으로 지난해 2·4분기 28.6%를 고점으로 3분기 연속 하락하다 이번에 상승 반전했다.
현재 단기외채 비중은 과거에 비해서는 낮다. 지난 1997년에는 48%에 이르렀으며 2008년에는 50%를 넘겼다. 하지만 브라질·러시아 등 주요 신흥국과 비교하면 월등히 높다는 것이 문제다. 1·4분기 기준 우리의 단기외채 비중은 26.9%로 브라질(8.3%), 러시아(8.9%)의 3배가 넘는 수준이다. 남아프리카공화국(23.4%), 아르헨티나(22.2%), 멕시코(18.4%), 인도네시아(14.7%) 등보다도 높았다.
한편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비율은 2·4분기 32.3%로 전 분기보다 1.2%포인트 올랐다. 이는 지난해 3·4분기(33.3%) 이후 가장 높은 것이다. 기획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단기외채 비중이 상승했지만 외채 건전성 및 지급능력 지표는 양호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중국 경기둔화 우려와 미국 금리 인상 등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어 외화자금시장 및 외국인 증권투자 동향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해 안정적으로 대외건전성을 관리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